유령 조합원 빼니…양대 노총 22만명 줄었다
입력
수정
지면A3
13년 만에 조합원 수 감소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의 조합원 수가 1년 새 22만 명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폐업 여부를 확인해 실체가 없는 노조를 목록에서 삭제하는 등 집계 방식을 바꾸면서 노조들이 관행적으로 부풀려온 조합원 수가 ‘민낯’을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노총은 조합원이 2021년 123만7000명에서 2022년 112만1000명으로 11만6000명 줄었다. 노조 수도 2701개에서 2325개로 13.9% 줄었다. 민주노총은 조합원이 121만1000명에서 109만9000명으로 감소했다. 노조 수는 381개에서 225개로 39.0% 급감했다. 제1노총의 지위는 한국노총이 3년 연속 이어갔다.
조합원 수 감소는 정부가 양대 노총의 신고에만 의존하던 기존 조사 방식을 바꾼 게 큰 영향을 미쳤다. 장기간 미활동 노조는 노동위의 의결을 거쳐 해산하고, 사업장 폐업 여부 등을 직접 확인해 실체가 없는 ‘유령 노조’는 목록에서 삭제했다. 해산된 미활동 노조는 41개에 조합원 1만8000명, 삭제된 유령 노조는 1478개에 조합원 8만1000명이었다.
민주노총 건설플랜트노조 조합원이 10만6000명에서 2만9000명으로 급감한 것도 조합원 수가 줄어든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노동계 관계자는 “지역 간 이동이 잦은 일용직 조합원을 중복 집계하는 관행이 있었는데 이번에 대거 정리됐다”고 설명했다. 한국노총은 8만 명 규모였던 건설산업노조가 위원장의 비위 행위로 인해 제명되면서 조합원 수가 줄었다.
사업장 규모별 조직률은 근로자 300명 이상 사업장이 36.9%, 100~299명 5.7%, 30~99명 1.3%, 30명 미만이 0.1%로 나타났다. 황보국 고용부 노동정책실장은 “미조직 근로자의 보호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