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 인터뷰] 작곡가 진은숙 "'클래식계 노벨상' 받아 영광…유일한 꿈은 좋은 곡 쓰는 것"
입력
수정
인터뷰 - 亞 최초 에른스트폰지멘스 음악상 받은 작곡가 진은숙
카라얀·번스타인·메시앙 반열에
베를린필 등 최정상 악단도 연주
"온종일 작곡만 생각…늘 어려워
내겐 좋은 음악이 가치있는 일"

‘클래식 음악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에른스트폰지멘스 음악상을 받은 한국 작곡가 진은숙(63·사진)은 2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독일 에른스트폰지멘스재단과 바이에른예술원은 이날 진은숙을 에른스트폰지멘스 음악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아시아인이 이 상을 받은 건 그가 처음이다. 상금은 25만유로(약 3억6000만원)다. 독일 베를린에 거주하고 있는 진은숙은 인터뷰에서 “수상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도저히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고 생각했다”며 “이전에도 많은 상을 받았지만, 그 어떤 때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영광스러운 순간”이라고 말했다.
에른스트폰지멘스 음악상은 독일 에른스트폰지멘스재단의 이름으로 바이에른예술원이 수여하는 상이다. 클래식 음악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기에 노벨상과 필즈상에 비유된다. 작곡, 지휘, 기악, 성악, 음악학 분야를 통틀어 해마다 한 명을 시상한다. 인류 문화에 대한 기여도가 수상자 선정 기준이다. 그는 “제2의 고향이자 세계 클래식 음악의 중심지인 독일에서 비로소 예술가로 인정받는 것 같아 가슴이 벅차다”며 “평생에 한 번 겪을까 말까 한 경험”이라고 했다.
역대 수상자 명단은 화려하다. 작곡가 벤저민 브리튼·올리비에 메시앙, 지휘자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레너드 번스타인·클라우디오 아바도·다니엘 바렌보임,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 피아니스트 마우리치오 폴리니·알프레드 브렌델 등 전설적인 음악가들이 받았다.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지만 그는 여전히 자신을 ‘부족한 작곡가’라고 했다. “전 단 한 순간도 제가 대단하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어요. 그들(수상자들)에 비하면 전 너무나 작은 사람이에요. 정말 매일 작곡을 하는데 늘 어려워요. 나이 들어도, 경험이 쌓여도 그래요. 오히려 점점 더 힘들어지는 것 같아요. 음악가로서 부족하다는 생각은 아마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을 겁니다.” 그는 “겸손한 척하는 게 아니라, 그게 사실”이란 말을 반복했다.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수상 관련 기사) 진은숙, 또 해냈다…'클래식계 노벨상'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수상
그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일까. 진은숙은 “좋은 작품을 만드는 게 유일한 꿈”이라고 했다. “전 거의 하루종일 작곡만 생각하는 것 같아요. 영감을 떠올리기 위해 수많은 날을 괴로움 속에 보냈죠. 어쩌다 잘 써질 때면 그렇게 행복할 수가 없어요. 제가 어떤 음악가로 기억될지는 중요하지 않고, 그저 어떤 작품을 쓸 수 있을지만 생각합니다. 제가 죽더라도 계속 사람들이 연주하고, 들을 수 있는 그런 음악을 남기고 싶습니다. 그것보다 더 가치 있는 일은 없다고 생각해요.”
진은숙은 서울대 작곡과를 졸업한 뒤 독일로 건너가 함부르크음대에서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했다. 베를린 도이체심포니 레지던스 작곡가(2001년), 영국 필하모니아 예술감독(2010년) 등을 지낸 진은숙은 2022년부터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진은숙 과거 인터뷰) 진은숙 예술감독 "통영국제음악제, 경계를 넘는 음악 들려드리겠다"
▶▶▶(예술인 DB) 진은숙=2004년 음악계의 노벨상 '그라베마이어상'을 차지한 세계적인 현대음악 작곡가
김수현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