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건강한데 일해야죠”…‘한국식 계속고용’ 찾는다 [계속고용이 답이다]
입력
수정
우리나라가 내년부터, 만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인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특히 노인들의 일자리는 심각한 노인빈곤 문제의 해법이기도 합니다. 부담이 큰 정년연장보다는 기업들이 정년이 끝난 근로자를 계속 고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채영 기자입니다.
북적이는 역사 안, 올해로 65살인 박호준씨가 유창한 영어실력으로 외국인들을 응대합니다.
30년 동안 의상 디자이너로 일한 박호준씨는 정년퇴직 후, 관광객들의 여행가방을 보관하고 공항으로 배송하는 물류매니저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박호준(65세)/ 서울역 ‘티-러기지’ 물류매니저 : 정년퇴직을 하고요 제가 봉사할 일이 없을까 찾다가 이게 봉사의 일종일 것 같고. 그동안 배웠던 영어와 일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점이 있고….]원자력연구소에서 근무했던 정미경씨는 퇴직 후 5년 넘게 노인복지센터 매점판매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정미경(68세)/ 서울노인복지센터 매점 판매원 : 일하는 즐거움도 있고, 건강도 유지되는 것 같고, 또 사회 참여수단도 되는 것 같아서…. 어르신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것 같아서 그럴 때 보람이 있는 것 같아요.]
지난해 11월 기준 경제활동 노인 인구는 337만명.전체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4명이 취업한 상태거나 구직 중입니다.
고령 근로자가 빠르게 늘자 정부도 2020년부터 기업이 정년을 넘긴 근로자를 계속 고용하면 한 명당 한 달에 30만 원씩 지원하고, 지원 기간도 최대 3년으로 늘렸습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다음 달 본격화되는 노사정 대화에서 ‘계속고용 확대’를 주요 의제로 다룰 예정입니다.
[김덕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상임위원 : 노동계는 정년 연장을 주장하지만 경영계는 기업 부담이 너무 크다. 그래서 임금체계개편 같은 것이 수반돼야 된다. 또 청년 일자리와의 충돌 문제도 있기 때문에 세대가 모두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임금체계 개편 없는 정년연장은 대기업·공기업 근로자만 혜택을 받고, 이는 청년 취업까지 위축시킬 수 있단 겁니다.
이에 현재로서는 정년연장보다 재고용이 더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나옵니다.
실제로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기업 대상 조사 결과 10곳 중 7곳 가까이가 ‘재고용 제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정년연장만이 아닌 한국식 계속고용 해법을 찾아 올해 상반기 계속고용로드맵을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한국경제TV 김채영입니다.
영상촬영: 이성근, 김재원
영상편집: 이가인
CG: 이미주
김채영기자 chaecha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