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보그·안드로이드·강화인간 같은 '신인류' 등장할 것"
입력
수정
지면A12
창간 60 - 디지털 휴이넘이 온다“가까운 미래에는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신(新)인류가 등장할 겁니다.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고민을 해야 할 때입니다.”
서용석 KAIST 국가미래전략기술 정책연구소장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가진
새로운 이성적 개체와의 미래선
우리의 자유의지 침해당할 수도
모호해진 인간 정체성 고민할때
국내에서 손꼽히는 미래학자(futurologist) 서용석 KAIST 국가미래전략기술 정책연구소장(사진)은 26일 인공지능(AI)과 로봇·생명공학의 발전에 대해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서 교수가 꼽은 새로운 인류 후보군은 △기계와 인간을 결합한 ‘사이보그’ △로봇에 AI를 탑재한 ‘안드로이드’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강화인간’ 등이다.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신체적 능력 등은 제각각이다.
서 교수는 “그리스 철학자들의 주된 고민은 동물과 인간의 구분이었다”며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능력인 이성이 있으면 인간이고, 본능과 감정만 있으면 동물이라고 봤다”고 설명했다. 이런 관점에서 이성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이 있는 사이보그와 안드로이드, 강화인간 등을 한국 사회가 어떻게 대하며 관계를 맺을지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인간이 신인류와 공존해야 하는 미래에는 인간이란 무엇인지 정체성을 고민하고 나아가 각 인류 사이의 관계를 정립하는 것의 중요성이 커진다는 게 서 교수의 예측이다. 그는 “인간은 한자로 ‘사람인(人)’에 ‘사이간(間)’자를 쓴다”며 “미래에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계, 기계와 기계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볼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서 교수는 미래학자들이 공통으로 꼽는 인류 문명의 구조적 변화 동인이 기술 발전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현재 일어나고 있는 AI 기술의 발전이 인간 자유 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도 봤다.
예를 들어 교통법규를 모두 코드화해 자율주행 차량용 AI를 학습시킨 경우다. 시속 30㎞의 어린이보호구역 규정 속도를 모든 차량 운전자가 의무적으로 지키게 만든다. 이 경우 생명이 위급한 환자를 옮기는 119차량 운전자도 자유 의지와는 관계없이 규정 속도를 지키게 된다. 서 교수는 “종이가 발명된 뒤 법은 법전에 쓰였지만, 앞으로는 코드화돼 AI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과정에서 인간의 자유 의지가 조금씩 상실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래학(futurology)은 과거의 역사적 사실과 현재의 데이터를 분석한 뒤 미래 청사진을 그리는 사회과학의 한 갈래다. 정보혁명 사회를 예견한 책 <제3의 물결>의 저자 앨빈 토플러가 대표적인 미래학자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