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잠수함서 SLCM 발사"…핵무기 탑재 잠수함 속도내나
입력
수정
지면A6
김정은, 순항미사일 발사 참관
핵추진 잠수함 건조사업도 지도


이번에 쏜 순항미사일이 잠수함에서 발사된 것인지, 미사일 시험 발사용 바지선에서 발사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북한이 같은 유형의 순항미사일을 육상과 수중 두 곳에서 쐈다는 점에서 발사 플랫폼을 다양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통신은 “(김정은이) 핵동력 잠수함 및 기타 신형 함선 건조사업과 관련한 문제들을 협의하시고 해당 부문이 수행할 당면 과업과 국가적 대책안들을 밝히셨으며 그 집행 방도에 대한 중요한 결론을 주셨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조만간 수중에서 무한 기동이 가능한 핵추진(원자력) 잠수함 건조에 본격 착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북한은 지난해 9월 수중에서 핵 공격을 할 수 있는 전술핵 공격잠수함인 ‘김군옥영웅함’을 진수했다. 다만 이 잠수함의 동력은 디젤엔진이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SLCM은 김군옥영웅함에서 발사했다면 최소 배 이름을 사진 속에서 공개하거나 언급했을 것인데, 그렇지 않은 점을 볼 때 김군옥영웅함에서 발사됐을 가능성은 작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북한이 전날 시험 발사한 SLCM ‘불화살-3-31형’을 핵잠수함에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잠수함 및 잠수함용 미사일 체계를 확보하면 러시아로부터의 기술이전이 있었는지 앞으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