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계 돈키호테' 한기호 "강연하고 칼럼 쓴 돈 쏟아부으며 잡지 찍었죠"
입력
수정
종이 잡지가 살아남기 힘든 스마트폰 시대, 1999년부터 지금까지 25년 동안 격주로 단 한 번의 '결석' 없이 600호의 잡지를 펴낸 출판계 '돈키호테'가 있다. 출판전문지 <기획회의>의 발행인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66·사진)이다. 최근 25년의 '잡지 생존기'를 담은 <잡지, 기록전쟁>을 출간한 한 소장을 서울 서교동 사무실에서 만났다.
'기획회의'는 출판 관계자들 사이에선 '교과서'로 통하는 출판 전문 잡지다. 150쪽 내외 분량의 잡지엔 출판계 주요 현안부터 현장에서 일하는 편집자들의 이야기, 서평 등이 담겨 있다. 지금까지 이 잡지를 거쳐간 필진은 총 6000명이 넘는다. 한 소장은 과거 15년간 일하던 창비에서 독립해 1999년 출판도매상 송인서적의 지원을 받아 <송인소식>이란 이름의 무가지로 잡지 발행을 시작했다. 2004년부터 <기획회의>로 이름을 바꾸며 유가지로 전환했다. 현재 편집자 두 명과 잡지를 펴내고 있다.
한 소장은 "잡지 발행 초반에는 출판계 전문 필진이 부족해 혼자서 원고지 200매 분량의 특집 기사를 쓰거나 좌담과 대담 등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지면을 채우는 등 시행착오를 겪었다"며 "출판평론가로 강연과 칼럼 기고, 컨설팅 등을 하며 번 돈을 잡지 발행에 쏟아부으며 버텼다"고 말했다.
올해로 스물다섯살 청년이 된 잡지는 변화와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얼마 전 발간한 600호는 '한국 출판마케팅의 현재와 미래'란 하나의 주제를 정해 특집을 만들었다. 한 소장은 "원래 잡지 한권에 다양한 이야기를 담아 왔지만 요즘 잡지의 트렌드는 '원 키워드'"라며 "하나의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면 단시간에 휘발되는 것이 아니라 독자들이 평생 간직하고 싶은 책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는 주제를 확장해 출판계 이슈 뿐 아니라 더 넓은 사회적 담론을 다룰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 소장은 잡지를 비롯한 종이책이 단순한 텍스트를 넘어 일종의 플랫폼으로 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애니메이션이나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와 연계를 통해 책이 콘텐츠의 허브가 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 소장은 "기존의 아날로그 종이책에 QR 코드를 넣어서 다른 콘텐츠로 연결해주는 방식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종이책의 부가가치를 키워야 한다"며 "기술이 출판 시장에 가져다주는 건 '위기'가 아니라 '기회'"라고 말했다.
<기획회의>가 100호, 200호를 넘길 때마다 일이 고되 한때는 폐간을 고민하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국내 유일한 출판 전문지라는 책임감과 독자들의 응원이 600호까지 달려오게 만들었다. 한 소장은 앞으로 젊은 편집자들에게 발행의 전권을 넘겨주고 1000호, 2000호가 나올 수 있는 '멍석을 깔아주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20대 편집자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요즘은 사무실도 따로 얻어 쓰고 있다. 새벽 두시 기상, 하루 한 권 책 읽기가 그의 오랜 일과다.
"출판 시장은 앞으로 '젊은 상상력'에 기대야 합니다. 똑똑하고 아이디어 넘치는 편집자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싶어요. 요즘은 새롭게 '독서모델학교'를 만들고 싶어 매달 적금을 들고 있는데, 얼른 시작하고 싶은 마음에 가슴이 뜁니다.(웃음)"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기획회의'는 출판 관계자들 사이에선 '교과서'로 통하는 출판 전문 잡지다. 150쪽 내외 분량의 잡지엔 출판계 주요 현안부터 현장에서 일하는 편집자들의 이야기, 서평 등이 담겨 있다. 지금까지 이 잡지를 거쳐간 필진은 총 6000명이 넘는다. 한 소장은 과거 15년간 일하던 창비에서 독립해 1999년 출판도매상 송인서적의 지원을 받아 <송인소식>이란 이름의 무가지로 잡지 발행을 시작했다. 2004년부터 <기획회의>로 이름을 바꾸며 유가지로 전환했다. 현재 편집자 두 명과 잡지를 펴내고 있다.
한 소장은 "잡지 발행 초반에는 출판계 전문 필진이 부족해 혼자서 원고지 200매 분량의 특집 기사를 쓰거나 좌담과 대담 등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지면을 채우는 등 시행착오를 겪었다"며 "출판평론가로 강연과 칼럼 기고, 컨설팅 등을 하며 번 돈을 잡지 발행에 쏟아부으며 버텼다"고 말했다.
올해로 스물다섯살 청년이 된 잡지는 변화와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얼마 전 발간한 600호는 '한국 출판마케팅의 현재와 미래'란 하나의 주제를 정해 특집을 만들었다. 한 소장은 "원래 잡지 한권에 다양한 이야기를 담아 왔지만 요즘 잡지의 트렌드는 '원 키워드'"라며 "하나의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면 단시간에 휘발되는 것이 아니라 독자들이 평생 간직하고 싶은 책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는 주제를 확장해 출판계 이슈 뿐 아니라 더 넓은 사회적 담론을 다룰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 소장은 잡지를 비롯한 종이책이 단순한 텍스트를 넘어 일종의 플랫폼으로 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애니메이션이나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와 연계를 통해 책이 콘텐츠의 허브가 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 소장은 "기존의 아날로그 종이책에 QR 코드를 넣어서 다른 콘텐츠로 연결해주는 방식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종이책의 부가가치를 키워야 한다"며 "기술이 출판 시장에 가져다주는 건 '위기'가 아니라 '기회'"라고 말했다.
<기획회의>가 100호, 200호를 넘길 때마다 일이 고되 한때는 폐간을 고민하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국내 유일한 출판 전문지라는 책임감과 독자들의 응원이 600호까지 달려오게 만들었다. 한 소장은 앞으로 젊은 편집자들에게 발행의 전권을 넘겨주고 1000호, 2000호가 나올 수 있는 '멍석을 깔아주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20대 편집자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요즘은 사무실도 따로 얻어 쓰고 있다. 새벽 두시 기상, 하루 한 권 책 읽기가 그의 오랜 일과다.
"출판 시장은 앞으로 '젊은 상상력'에 기대야 합니다. 똑똑하고 아이디어 넘치는 편집자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싶어요. 요즘은 새롭게 '독서모델학교'를 만들고 싶어 매달 적금을 들고 있는데, 얼른 시작하고 싶은 마음에 가슴이 뜁니다.(웃음)"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