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값 10주째 하락
입력
수정
지면A29
서울 -0.05%로 9주 연속↓
고금리·가계대출 규제 영향
전세가격은 29주 만에 보합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서 매수세 위축이 심화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은 -0.05%로, 전주(-0.03%)보다 내림 폭이 확대했다. 9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강북 지역에선 도봉·성동구(-0.08%), 동대문구(-0.07%)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강남권에선 서초구가 0.07% 내리며 낙폭을 키웠다. 강남(-0.03%), 송파(-0.04%) 등도 매매가가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인천(-0.03%→-0.05%)과 경기(-0.07%→-0.08%) 역시 하락 폭이 커졌다. 지방도 0.06% 내리며 1주일 전(-0.04%)보다 하락 폭을 늘렸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급매물 위주의 매수 문의는 종종 있지만 매물 적체가 이어지면서 하락 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 전셋값은 지난해 7월 둘째주 이후 29주 만에 오름세를 멈췄다. 서울(0.06%), 경기(0.05%), 인천(0.07%) 등 수도권 지역은 강세가 이어졌지만, 지방이 크게 움츠러들었다.
지방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0.01%에서 이번주 -0.04%로 낙폭이 크게 확대했다. 세종은 신규 입주 물량에 따른 매물 적체로 -0.58%를 나타냈다.수도권과 지방의 전세시장 온도 차는 한동안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수도권은 매매시장 관망 속에 임차 수요가 꾸준한 데다 신규 매물이 감소하는 추세기 때문이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지방에선 세종, 대구 등 공급 물량이 많은 지역이 전체 전세 평균값을 끌어내리고 있다”며 “경기, 서울 등은 신축 입주가 제한적인 만큼 한동안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