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Y 260만원 더 주고 사야할 판"…불똥 튄 테슬라에 '술렁'
입력
수정
달라진 전기차 보조금 정책
LFP 배터리 기준도 강화
KG모빌리티도 고심…"가격 인하 가능성"

바뀐 전기차 보조금 정책에 업계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올해 전기차 국고 보조금이 지난해보다 줄어들고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등에 대한 환경 기준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테슬라 모델Y 후륜구동(RWD) 모델을 겨냥한 정책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7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보조금 100%를 받는 전기 승용차 기준은 지난해(5700만원 미만)보다 200만원 낮아진 '5500만원 미만'이 됐다. 5500만~8500만원 미만 전기차는 보조금 50%를 받고, 8500만원 이상 차량은 보조금을 받지 못한다.
보조금은 1회 충전 주행거리를 비롯해 충전 속도, 차량정보수집장치 탑재 여부, 직영정비센터 규모, 충전 인프라 확충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올해는 특히 '배터리효율계수'를 새로 도입해 배터리 에너지 밀도에 따라서도 보조금을 차등 지급한다. 모든 요건을 충족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국고보조금은 최대 65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0만원 줄었다.

판매 돌풍 모델Y RWD 직격탄...KGM도 고심
테슬라는 직격탄을 맞게 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해 1만5000대 이상 국내에서 팔려 돌풍을 일으킨 모델Y RWD 모델이 대표적이다. 중국에서 생산된 모델Y RWD은 미국산 모델Y보다 2000만원 저렴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인기 요인이었다.
이에 따라 모델Y RWD는 지난해보다 같은 차를 오히려 비싸게 판매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에서 "모델Y를 겨냥한 정책"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가성비를 내세우며 LFP 배터리 탑재 전기차를 선보인 KG모빌리티도 난감한 기색이다. KG모빌리티의 전기차 토레스 EVX는 중국 비야디(BYD) LFP 배터리를 탑재해 동급 대비 저렴한 가격을 장점으로 어필했다. 토레스 EVX는 KG모빌리티가 생산하는 유일한 전기차다.
보조금 맞춰 전기차 가격 인하하나
업계 일각에서는 제조사가 새로운 보조금 기준에 맞춰 찻값을 내릴 것으로도 예상한다. 지난해 테슬라는 모델Y RWD를 출시하면서 가격을 당시 보조금 100% 수준이었던 5700만원 미만에 맞춘 5677만원으로 책정한 바 있다.이러한 선례에 비춰볼 때 테슬라는 올해도 보조금 100% 기준에 맞춰 가격을 내릴 가능성도 점쳐진다. 만약 보조금을 전액 받을 수 있게끔 모델Y RWD 가격을 200만원 인하할 경우 성능보조금(보급목표이행보조금·혁신기술보조금 등은 제외)과 지자체 보조금을 더해 4000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