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위해달라" 간호사 파업 때 부산대병원 의사 글 재조명(종합)
입력
수정
당시 간호사들에 "동남권 환자 최후의 보루, 돌아와 달라" 촉구
시민들 "의사 집단사직,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렸다 안돼" 부산지역 대형병원 전공의들도 집단 사직서를 제출하며 의료 공백이 점점 현실화하는 가운데 7개월 전 부산대병원 간호사들이 대규모 파업을 할 때 "환자들을 위해 돌아와 달라"며 촉구하던 의사들의 글이 재조명받는다. 20일 연합뉴스 취재에 따르면 부산대병원 내에 의사들의 대자보가 붙은 시기는 7개월 전인 지난해 7월이다.
간호사들이 주축인 전국보건의료노조가 파업을 선언하고, 부산대병원 노조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내세우며 전국 병원 중 최대 규모로 파업을 벌일 때다.
당시 부산대병원 교수협의회는 '부산대학교병원의 동료분들께'라는 제목의 글을 원내 곳곳에 붙이며 간호사의 복귀를 종용했다. 당시 대자보에는 "이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알지 못함에 답답함을 금할 길이 없다"면서 "수많은 환자분이 수술, 시술 및 항암치료 등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기다리고 계신다"는 내용이 적혔다.
그러면서 "우리 부산대학교 병원은 동남권 환자들의 최후의 보루로 선천성 기형, 암, 희소 질환 등 어려운 질병으로 고통받으시는 분들의 희망"이라면서 "하루속히 자신의 자리로 돌아와 진료와 치료를 간절하게 기다리시는 환자분들을 위해 최선을 다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하고 있다. 시민들은 이번 전공의들의 집단 움직임으로 인한 의료 공백에 대한 공포가 7개월 전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대병원의 경우 이날 오전 9시 기준 전공의 236명 가운데 216명이 사직서를 내고 대부분 출근하지 않았다.
당장 다음 달 1일부터 근무하기로 한 신규 인턴 50여명 역시 임용 포기 각서를 썼다.
시민들은 '환자들의 최후 보루'인 부산대병원의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교수협의회가 나서 전공의들에 대해 제동을 걸어야 한다고 말한다. 김모(34)씨는 "환자를 우선순위에 두지 않는 집단행동을 두고, 간호사 파업 때는 틀렸고 지금은 맞는다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의사 집단 스스로가 했던 말을 곱씹어 보면서 신속히 환자들의 곁으로 돌아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당시 교수협의회 대자보 외에도 부산대병원 내부망에는 병원 정상화를 촉구하는 다수 의사의 글이 있었다.
흉부외과 한 교수는 "환자들의 간절한 마음을 아신다면 암 환자 수술 등은 유지할 수 있도록 쟁의 행위를 교대로 해달라"고 촉구했다.
동남권 최대 어린이병원인 양산부산대병원의 의료진들도 당시 "소아·청소년 환자들이 필수 진료를 받지 못하는 사태를 바라보며 무기력함과 비통함을 느낀다"고 호소하면서 노조 파업 현상에서 1인 피케팅을 하기도 했다. 시민 최모(39)씨는 "암 환자 수술이나 소아 청소년 환자 등 필수 의료를 멈춰 세우는 전공의들의 집단 행위는 시민들의 공감을 받지 못한다"면서 "주요 현장의 전공의는 모두 복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시민들 "의사 집단사직,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렸다 안돼" 부산지역 대형병원 전공의들도 집단 사직서를 제출하며 의료 공백이 점점 현실화하는 가운데 7개월 전 부산대병원 간호사들이 대규모 파업을 할 때 "환자들을 위해 돌아와 달라"며 촉구하던 의사들의 글이 재조명받는다. 20일 연합뉴스 취재에 따르면 부산대병원 내에 의사들의 대자보가 붙은 시기는 7개월 전인 지난해 7월이다.
간호사들이 주축인 전국보건의료노조가 파업을 선언하고, 부산대병원 노조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내세우며 전국 병원 중 최대 규모로 파업을 벌일 때다.
당시 부산대병원 교수협의회는 '부산대학교병원의 동료분들께'라는 제목의 글을 원내 곳곳에 붙이며 간호사의 복귀를 종용했다. 당시 대자보에는 "이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알지 못함에 답답함을 금할 길이 없다"면서 "수많은 환자분이 수술, 시술 및 항암치료 등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기다리고 계신다"는 내용이 적혔다.
그러면서 "우리 부산대학교 병원은 동남권 환자들의 최후의 보루로 선천성 기형, 암, 희소 질환 등 어려운 질병으로 고통받으시는 분들의 희망"이라면서 "하루속히 자신의 자리로 돌아와 진료와 치료를 간절하게 기다리시는 환자분들을 위해 최선을 다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하고 있다. 시민들은 이번 전공의들의 집단 움직임으로 인한 의료 공백에 대한 공포가 7개월 전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대병원의 경우 이날 오전 9시 기준 전공의 236명 가운데 216명이 사직서를 내고 대부분 출근하지 않았다.
당장 다음 달 1일부터 근무하기로 한 신규 인턴 50여명 역시 임용 포기 각서를 썼다.
시민들은 '환자들의 최후 보루'인 부산대병원의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교수협의회가 나서 전공의들에 대해 제동을 걸어야 한다고 말한다. 김모(34)씨는 "환자를 우선순위에 두지 않는 집단행동을 두고, 간호사 파업 때는 틀렸고 지금은 맞는다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의사 집단 스스로가 했던 말을 곱씹어 보면서 신속히 환자들의 곁으로 돌아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당시 교수협의회 대자보 외에도 부산대병원 내부망에는 병원 정상화를 촉구하는 다수 의사의 글이 있었다.
흉부외과 한 교수는 "환자들의 간절한 마음을 아신다면 암 환자 수술 등은 유지할 수 있도록 쟁의 행위를 교대로 해달라"고 촉구했다.
동남권 최대 어린이병원인 양산부산대병원의 의료진들도 당시 "소아·청소년 환자들이 필수 진료를 받지 못하는 사태를 바라보며 무기력함과 비통함을 느낀다"고 호소하면서 노조 파업 현상에서 1인 피케팅을 하기도 했다. 시민 최모(39)씨는 "암 환자 수술이나 소아 청소년 환자 등 필수 의료를 멈춰 세우는 전공의들의 집단 행위는 시민들의 공감을 받지 못한다"면서 "주요 현장의 전공의는 모두 복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