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영토 확장…이젠 텍사스·교토·칭다오 공략
입력
수정
지면A10
농식품부 수출 혁신전략정부가 올해 농식품 관련 산업 수출액을 135억달러로 작년보다 11%가량 늘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주요 국가의 핵심 중점 도시(1선 도시)를 넘어 미국 텍사스, 중국 칭다오, 일본 교토 같은 지역 주요 도시(2선 도시)를 집중 공략해 2027년에는 수출액을 230억달러까지 키운다는 구상이다.
중동·중남미·인도 비중 확대
올해 수출액 135억달러 목표
○“3대 신시장 비중 두 배로 확대”
농림축산식품부는 20일 이런 내용의 ‘K푸드+ 수출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K푸드+는 K푸드를 비롯해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농기자재, 반려동물음식(펫푸드), 동물용의약품 등 농식품 전후방 산업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난해 K푸드+ 수출액은 121억4000만달러로 사상 최대였다. K푸드와 스마트팜 등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올해는 작년보다 11.2% 많은 135억달러로 목표를 잡았다.정부는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K-Food+ 수출 영토를 공격적으로 확장하기로 했다. 3대 신시장으로 꼽히는 중동·중남미·인도 수출 비중을 지난해 6.2%에서 올해 8%, 2027년 12%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7개국과 맺고 있는 할랄인증 상호인정협약은 9개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 협약을 맺은 국가에 수출하는 기업은 국내에서 할랄 인증을 받았다면 수출할 때 교역국의 추가 인증을 받지 않아도 된다.미·중·일에서는 2선 시장으로 K푸드+를 진출시킨다. 예컨대 미국의 경우 뉴욕·로스앤젤레스(LA) 등 1선 시장에 이어 텍사스를 중심으로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다. 중국은 칭다오, 일본은 교토를 거점 시장으로 삼을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역 유통업체 입점을 지원하고, 지역 박람회와 안테나숍(소비자 반응을 파악하기 위한 전략 점포)을 추진한다. ‘K푸드’ 로고 상표 등록 국가는 올해 55개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수출 지원도 강화
농식품부는 생산자와 수출기업이 해외 판매를 위해 공동 설립하는 마케팅 법인(수출조직)이 자생력을 갖추도록 돕기로 했다. 품질 관리, 공동 마케팅, 물류 효율화 등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세계무역기구(WTO) 방침에 따라 수출 물량의 약 5%를 정부가 직접 지원한 ‘수출물류비 지원 제도’가 올해부터 폐지된 데 따른 것이다. 딸기 파프리카 포도 배 등 수출조직은 올해 12개에서 2027년 20개로 늘릴 예정이다.신선 농산물에 특화한 물류 체계도 구축한다. 저온시설이 부족한 국내 선별장 및 항만·공항 인근에 저온창고·차량, 특수포장재 등의 지원을 확대한다. 중국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프랑스 인도네시아 등 6개국에서만 지원하고 있는 해외 콜드체인은 2027년 12개로 확대한다. 신선 농산물 수출을 위해 ‘신속통관제도’도 도입한다. 항공 수출 절차가 간소화돼 통관 시간이 최대 6시간에서 최대 2시간으로 단축된다.해외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보유한 대기업과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판로를 공동 활용하도록 협업모델도 발굴한다. 또 ‘K푸드 플러스 100대 유망 수출기업’을 선정해 투자 유치부터 상장, 수출 등 전 주기에 걸쳐 지원하기로 했다. 관계 부처와의 협력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 등 다른 부처와 ‘통상환경 대응 협력체계’ 구성을 협의하고 모방 제품 근절을 위해 특허청과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중·장기적으로 K푸드+가 주력 수출산업이 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