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쩌둥 시대의 유산' 中기업 사내 예비군 부대가 돌아왔다

"경기둔화 사회 불안 커진 탓"
사진=AP
중국 기업들이 사내 인민무력부(PAFD) 조직을 신설하고 있다. 마오쩌둥 국가주석 시대의 유산인 민병대와 유사한 예비군 부대다. 중국의 경기 둔화세가 뚜렷해면서 정치·사회 불안 우려가 커진 데 대한 대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0일(현지시간) 자체 집계한 결과에 따라 "최근 몇 달 동안 수십 개의 중국 기업들이 사내에 인민무력부를 만들었다"고 보도했다. 상하이 청터우 그룹, 우한시 도시건설투자개발그룹, 파워차이나(중국전건집단장비연구원)그룹, 우한메트로, 후이저우시의 수자원공사 및 교통투자그룹, 장쑤성의 하이안 도시건설투자그룹, 네이멍구 멍뉴그룹 등 국영기업들이 주를 이뤘다.민간기업들도 인민무력부 설치 대열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네이멍구자치구에 본사를 둔 유제품 대기업인 이리그룹은 지난해 말 민간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인민무력부를 설립했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달 관영 언론이 "뉴질랜드에 여러 우유 회사를 소유한 이리가 '평시에는 봉사하고, 비상시에는 대응하며, 전시에는 싸우는' 방위군을 구축하고 있다"고 보도한 뒤로 알려졌다.

사내 인민무력부 조직은 민병대와 유사한 예비군 부대다. 마오쩌둥 집권 시기 민병대는 정규군인 인민해방군과 함께 군대 조직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마을 단위로 인민해방군의 신병 모집을 담당하거나 전시, 재난 등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동원되기도 했다. 덩샤오핑 집권기에 그 역할이 민방위 활동 등으로 대폭 축소된 이후 사실상 '마오쩌둥 시대의 유산'으로만 여겨졌다.
사진=XINHUA
최근 재설치 움직임은 중국의 국방개혁 움직임과도 맞물려 있다. 중국 당국은 2022년 말부터 지역별 인민방공판공실(민방위 사무소)을 국방동원판공실로 대체해 왔는데, 이는 국가 안보 능력 강화의 신호탄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우첸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해 10월 브리핑에서 "국유기업에 인민무력부를 설립하는 것은 국방 의무를 이행하고 국방 건설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전문가들은 다만 "인민무력부의 재확산을 '외국의 적을 겨냥한 군사 동원'으로 확대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중국 내부적으로 사회·정치적 불안정성이 커지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움직임이라는 주장이다. 중국은 코로나19에서 벗어난 뒤로도 부동산 시장의 연쇄 디폴트(채무불이행), 내수 및 수출 부진 등으로 인해 경제 회복의 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미국의 첨단기술 수출 통제 강화 등 지정학적 갈등에도 노출돼 있다.

미국 싱크탱크 랜드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인 티모시 히스는 "인민무력부대의 활성화는 국내 상황에 대해 중국 지도부가 우려하고 있다는 징후"라면서 "중국 내 곳곳에서 설치가 확산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톱다운(상명하달)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싱가포르 라자라트남 국제대학원의 중국 전문가인 제임스 차는 "시진핑 주석의 2기 집권이 시작된 2017년부터 중국 공산당이 '개발'보다 '안보'를 강조하는 기조로 바뀐 것과 연관있다"고 설명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