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지켜주는 의사들에게 격려와 감사"…'26%' 사수 나선 정부
입력
수정
정부가 병원을 떠나지 않고 의료 현장을 지키고 있는 전공의와 의료 인력 '사수'에 나섰다. 전공의들의 집단 행동으로 인한 의료 공백이 의사 집단 전반에 대한 분노와 사회 갈등으로 이어지는 상황을 막고,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22일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우리 주변에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를 위해 희생을 마다않고 최선을 다하고 있는 훌륭한 의사들이 많이 있다"며 "현장에서 환자 곁을 지키고 있는 의사들까지 명예가 훼손되어선 안된다"고 말했다.박 차관은 이어 "지금 단체행동에 나서고 이를 부추기는 일부 의사들이 의사 전체의 모습이 아니다"며 "진료를 받을 때 현장을 지켜주는 의사분들에게 따뜻한 격려와 감사의 한마디를 전해달라"고 말했다. 앞선 브리핑에서 집단 행동에 동참한 의사들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 전달에 주력했던 것과 달리 현장에 남아있는 의사들에 대한 격려와 존중을 강조한 것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21일 22일 기준 주요 100개 병원의 사직서 제출자는 9275명으로 전체 전공의의 74.4%다. 근무지 이탈자는 8024명으로 64.4% 수준이다. 20일부터 시작된 집단 사직서 제출 움직임에도 아직 전공의 4명 중 1명은 사직서를 내지 않고 병원을 지키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복지부가 남은 의사들에 대한 격려의 메시지를 보낸 것은 최근 의사 및 전공의 단체를 중심으로 여론의 공분을 사는 발언이 이어지면서 의사 전반에 대한 인식이 악화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20일 방송된 TV토론회에서 의사 측 인사로 나온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지역의사제에서 성적 낮은 학생을 뽑아서 의무근무 시키면 근로 의욕도 떨어질 것이고, 그 의사한테 진료받고 싶겠나"며 "반에서 20~30등 하는 데도 가고, 의무근무도 시키고 (하는 것을) 국민이 원하지 않는다"고 발언해 논란이 됐다. 전공의 단체 집회 과정에선 일부 전공의가 "의사가 있어야 환자가 있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집단 행동에 참여하지 않는 전공의가 최대한 많이 확보될수록 정부가 가동 중인 비상진료체계가 지속가능할 수 있다는 점도 정부가 고려한 부분이다.
박 차관은 21일 브리핑에서 의료계 일각에서 비상진료체계가 버틸 수 있는 기한이 2~3주일 정도라는 주장에 대해 "절대 아니다"며 "2~3주보다 훨씬 더 지속 가능한 비상진료체계 대응이 유지가 되도록 정부가 가능한 모든 수단과 지원을 하겠다"고 강조했다.향후 관건은 최종적으로 얼마나 많은 전공의들이 현장에 남을지에 달려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의 전공의 파업 참가율은 2000년 의약분업 파업(79%), 2020년 공공의대 설립 반대 당시 80%에 비해선 아직 낮은 수준이다.
박 차관은 "집단행동 초기라 현장에 혼란이 있다"면서도 "정부는 비상진료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해 혼란을 조기에 수습하고 진료 공백이 최소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22일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우리 주변에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를 위해 희생을 마다않고 최선을 다하고 있는 훌륭한 의사들이 많이 있다"며 "현장에서 환자 곁을 지키고 있는 의사들까지 명예가 훼손되어선 안된다"고 말했다.박 차관은 이어 "지금 단체행동에 나서고 이를 부추기는 일부 의사들이 의사 전체의 모습이 아니다"며 "진료를 받을 때 현장을 지켜주는 의사분들에게 따뜻한 격려와 감사의 한마디를 전해달라"고 말했다. 앞선 브리핑에서 집단 행동에 동참한 의사들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 전달에 주력했던 것과 달리 현장에 남아있는 의사들에 대한 격려와 존중을 강조한 것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21일 22일 기준 주요 100개 병원의 사직서 제출자는 9275명으로 전체 전공의의 74.4%다. 근무지 이탈자는 8024명으로 64.4% 수준이다. 20일부터 시작된 집단 사직서 제출 움직임에도 아직 전공의 4명 중 1명은 사직서를 내지 않고 병원을 지키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복지부가 남은 의사들에 대한 격려의 메시지를 보낸 것은 최근 의사 및 전공의 단체를 중심으로 여론의 공분을 사는 발언이 이어지면서 의사 전반에 대한 인식이 악화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20일 방송된 TV토론회에서 의사 측 인사로 나온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지역의사제에서 성적 낮은 학생을 뽑아서 의무근무 시키면 근로 의욕도 떨어질 것이고, 그 의사한테 진료받고 싶겠나"며 "반에서 20~30등 하는 데도 가고, 의무근무도 시키고 (하는 것을) 국민이 원하지 않는다"고 발언해 논란이 됐다. 전공의 단체 집회 과정에선 일부 전공의가 "의사가 있어야 환자가 있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집단 행동에 참여하지 않는 전공의가 최대한 많이 확보될수록 정부가 가동 중인 비상진료체계가 지속가능할 수 있다는 점도 정부가 고려한 부분이다.
박 차관은 21일 브리핑에서 의료계 일각에서 비상진료체계가 버틸 수 있는 기한이 2~3주일 정도라는 주장에 대해 "절대 아니다"며 "2~3주보다 훨씬 더 지속 가능한 비상진료체계 대응이 유지가 되도록 정부가 가능한 모든 수단과 지원을 하겠다"고 강조했다.향후 관건은 최종적으로 얼마나 많은 전공의들이 현장에 남을지에 달려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의 전공의 파업 참가율은 2000년 의약분업 파업(79%), 2020년 공공의대 설립 반대 당시 80%에 비해선 아직 낮은 수준이다.
박 차관은 "집단행동 초기라 현장에 혼란이 있다"면서도 "정부는 비상진료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해 혼란을 조기에 수습하고 진료 공백이 최소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