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서 원전토론 尹 "이승만이 원전 기초 다져…대단한 혜안"(종합)
입력
수정
한미원자력협정·원자력공학과 설치 등 이승만 업적으로 소개
"지난 정부 무모한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업계 고사" 윤석열 대통령은 22일 "흔히 원자력 발전의 시작을 1978년 4월 고리 1호기로 기억하는 분이 많지만, 실제로 우리나라 원전의 기초를 다진 분은 이승만 전 대통령이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창원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연 14번째 민생 토론회 서두에서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1956년 한미원자력협정 체결, 1959년 원자력원·원자력연구소 설립으로 이 전 대통령이 원전의 길을 열었다면서 "서울대와 한양대에 원자력공학과를 설치해 연구개발의 토대를 닦았다.
실로 대단한 혜안이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이어받아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9년 최초의 원자력 장기 계획을 수립해 우리 원전 산업을 일으켰다"며 "이렇게 시작된 원전이 싸고 품질 좋은 전기를 공급해 대한민국을 세계 10대 경제국으로 이끈 원동력이 됐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한창 성장할 때 한국의 산업용 전기 요금이 일본 요금의 4분의 1 수준이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이 이 전 대통령을 민생 토론회에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대전·울산 토론회를 포함, 박 전 대통령은 그간 3차례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이승만 전 대통령의 업적을 거듭 부각하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의 생애를 조명한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에 대해서는 "역사를 올바르게 알 수 있는 기회"라고 참모들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0일 설 연휴에는 해병 청룡부대(2사단)를 찾아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무적 해병'의 휘호를 받은 역사적인 부대"라고 언급했고, 지난해에는 이승만 대통령기념관 건립 사업에 500만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전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창원을 비롯한 우리나라 원전 생태계가 고사 상태였다는 점을 여러 차례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중요한 원전 산업의 핵심 도시가 창원"이라며 "그런데 제가 취임 직후 창원을 방문했을 때 큰 충격을 받았다.
(전임 정부의) 무모한 탈원전 정책으로 지역 원전 업계가 한 마디로 고사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념에 매몰된 비과학적 국정운영이 세계 일류 원전 시설을 사장하고 기업과 민생을 위기와 도탄에 빠뜨렸었다"며 "그래서 저는 취임 직후부터 원전 정책과 원전 생태계 정상화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 왔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원전 연구 기반과 관련해서도 "지난 몇 년간 원전 해체에만 집중하고 원전 고도화와 수출에 필요한 연구는 사실상 방치됐다"며 "지난 정부 당시 원자력 전공자가 20% 넘게 감소했고, 원자력 학과가 있던 18개 대학 가운데 3곳이 전공을 폐지하기까지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원전 관련 기업인, 연구원, 대학생을 비롯해 창원·경남 지역 청년 근로자, 소상공인 등 시민 70여명이 참석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완수 경남지사, 홍남표 창원시장, 박종우 거제시장 등도 자리했다.
창원대 박사 과정인 한 학생은 "원전 연구를 계속하고 싶지만, 정권이 바뀌게 된다면 이전처럼 원전 산업이 배척받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정권이 바뀔지, 안 바뀔지는 국민 전체가 선택하는 문제라서 제가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이라고 답해 좌중에 웃음이 일었다.
그러면서 "태양열이나 풍력이 기본적으로 산업용 전기를 생산해내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며 "그러니까 이제 어떤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우리 학생이 크게 걱정 안 해도 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원전은 우리 산업의 기반인데 국민들이 잘 인식 못 한 상황에서 탈원전 정책이 막 추진됐다"며 "저 역시 처음에 탈원전 추진할 때는 잘 몰랐다.
그런데 나중에 '월성원전 사건' 처리를 위해 자료를 보고 하다 보니 탈원전이 정말 큰일 날 일이구나 깨달았다"고 회상했다.
자신을 '경남의 아들'로 소개한 산업통상자원부 원전산업정책과 사무관이 소형모듈원자로(SMR) 지원 정책을 언급하며 "아마 올해도 집에 빨리 들어가긴 힘들 것 같다"고 말하자, 윤 대통령은 웃으며 "산자부 장관이 경남의 아들을 원전 복원 주무과에 잘 배치를 한 것 같다"고 반응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도 "경남의 아들도 잠 못 잤다고 그러는데 우리들도 사무실에 불이 꺼지지 않을수록 전국에 있는 국민들의 민생이 편안해진다는 생각을 갖고 속도를 좀 내주길 바란다"며 "안 되는 게 어디 있겠습니까"라고 했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정부 출범 이후 혜택을 가장 많이 입은 지역이 경남"이라며 남해안 규제 완화, 남부내륙철도 조기 건설 등에 대한 관심도 요청했다.
/연합뉴스
"지난 정부 무모한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업계 고사" 윤석열 대통령은 22일 "흔히 원자력 발전의 시작을 1978년 4월 고리 1호기로 기억하는 분이 많지만, 실제로 우리나라 원전의 기초를 다진 분은 이승만 전 대통령이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창원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연 14번째 민생 토론회 서두에서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1956년 한미원자력협정 체결, 1959년 원자력원·원자력연구소 설립으로 이 전 대통령이 원전의 길을 열었다면서 "서울대와 한양대에 원자력공학과를 설치해 연구개발의 토대를 닦았다.
실로 대단한 혜안이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이어받아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9년 최초의 원자력 장기 계획을 수립해 우리 원전 산업을 일으켰다"며 "이렇게 시작된 원전이 싸고 품질 좋은 전기를 공급해 대한민국을 세계 10대 경제국으로 이끈 원동력이 됐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한창 성장할 때 한국의 산업용 전기 요금이 일본 요금의 4분의 1 수준이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이 이 전 대통령을 민생 토론회에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대전·울산 토론회를 포함, 박 전 대통령은 그간 3차례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이승만 전 대통령의 업적을 거듭 부각하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의 생애를 조명한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에 대해서는 "역사를 올바르게 알 수 있는 기회"라고 참모들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0일 설 연휴에는 해병 청룡부대(2사단)를 찾아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무적 해병'의 휘호를 받은 역사적인 부대"라고 언급했고, 지난해에는 이승만 대통령기념관 건립 사업에 500만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전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창원을 비롯한 우리나라 원전 생태계가 고사 상태였다는 점을 여러 차례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중요한 원전 산업의 핵심 도시가 창원"이라며 "그런데 제가 취임 직후 창원을 방문했을 때 큰 충격을 받았다.
(전임 정부의) 무모한 탈원전 정책으로 지역 원전 업계가 한 마디로 고사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념에 매몰된 비과학적 국정운영이 세계 일류 원전 시설을 사장하고 기업과 민생을 위기와 도탄에 빠뜨렸었다"며 "그래서 저는 취임 직후부터 원전 정책과 원전 생태계 정상화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 왔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원전 연구 기반과 관련해서도 "지난 몇 년간 원전 해체에만 집중하고 원전 고도화와 수출에 필요한 연구는 사실상 방치됐다"며 "지난 정부 당시 원자력 전공자가 20% 넘게 감소했고, 원자력 학과가 있던 18개 대학 가운데 3곳이 전공을 폐지하기까지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원전 관련 기업인, 연구원, 대학생을 비롯해 창원·경남 지역 청년 근로자, 소상공인 등 시민 70여명이 참석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완수 경남지사, 홍남표 창원시장, 박종우 거제시장 등도 자리했다.
창원대 박사 과정인 한 학생은 "원전 연구를 계속하고 싶지만, 정권이 바뀌게 된다면 이전처럼 원전 산업이 배척받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정권이 바뀔지, 안 바뀔지는 국민 전체가 선택하는 문제라서 제가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이라고 답해 좌중에 웃음이 일었다.
그러면서 "태양열이나 풍력이 기본적으로 산업용 전기를 생산해내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며 "그러니까 이제 어떤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우리 학생이 크게 걱정 안 해도 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원전은 우리 산업의 기반인데 국민들이 잘 인식 못 한 상황에서 탈원전 정책이 막 추진됐다"며 "저 역시 처음에 탈원전 추진할 때는 잘 몰랐다.
그런데 나중에 '월성원전 사건' 처리를 위해 자료를 보고 하다 보니 탈원전이 정말 큰일 날 일이구나 깨달았다"고 회상했다.
자신을 '경남의 아들'로 소개한 산업통상자원부 원전산업정책과 사무관이 소형모듈원자로(SMR) 지원 정책을 언급하며 "아마 올해도 집에 빨리 들어가긴 힘들 것 같다"고 말하자, 윤 대통령은 웃으며 "산자부 장관이 경남의 아들을 원전 복원 주무과에 잘 배치를 한 것 같다"고 반응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도 "경남의 아들도 잠 못 잤다고 그러는데 우리들도 사무실에 불이 꺼지지 않을수록 전국에 있는 국민들의 민생이 편안해진다는 생각을 갖고 속도를 좀 내주길 바란다"며 "안 되는 게 어디 있겠습니까"라고 했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정부 출범 이후 혜택을 가장 많이 입은 지역이 경남"이라며 남해안 규제 완화, 남부내륙철도 조기 건설 등에 대한 관심도 요청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