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일부 돌아왔지만…전임의·교수 '동참' 여부가 향방 좌우

이탈 증가세 주춤해지고, 일부 전공의 현장으로 복귀
전공의 떠난 자리 메웠던 '전임의' 결정에 집단행동 지속 여부 달려
교수들도 '동요'…서울의대 교수들 "정부조치 없으면 행동 함께할것"
전공의들의 본격적인 '병원 이탈'이 23일로 나흘째 이어졌지만, 이미 대다수가 사직한 만큼 그 증가세는 주춤하다. 일부 전공의의 복귀 움직임 등을 고려하면 집단행동의 동력이 정체될 것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전공의의 빈자리를 메우고 있는 '전임의'나 교수들이 움직이면 집단행동이 오히려 격화할 수도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22일 기준 전공의 수 상위 병원을 점검한 결과 총 8천900여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내고, 그 중 7천800여명이 근무지를 이탈했다"고 말했다.

한 총리가 언급한 점검 대상 병원은 총 94곳이다. 기존에 보건복지부가 집계해오던 100곳의 병원 가운데 자료를 부실하게 제출한 6곳을 제외했다.

9천275명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8천24명이 근무지를 이탈했다는 복지부의 전날 집계보다 수치가 줄었다.

집계 대상 병원 수가 줄어든 만큼 전공의 사직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도 볼 수 있지만, 병원을 떠난 전공의 가운데 일부는 복귀한 것으로 정부는 파악했다.
전공의 이탈이 더는 확산하지 않는 분위기이지만, 전임의들과 4년차 전공의, 교수 등의 집단행동 '동참' 여부가 앞으로 사태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전임의는 전공의 과정을 마친 뒤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고 병원에 남아 세부 전공을 배우는 의사들이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달 20일 전국 82개 수련병원에서 근무 중이거나 근무 예정인 임상강사·전임의들의 입장문을 공개했다. 임상강사는 교수로 정식 채용되기 전 계약제로 일하는 의사들이다.

이들은 입장문에서 "의료 정책에 대한 진심 어린 제언이 모두 묵살되고, 의사가 국민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매도되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의업을 이어갈 수 없다"고 말했다.

병원을 떠나는 집단행동에 동참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이들 전임의와 임상강사, 교수들은 현재 외래 진료와 수술, 입원환자 관리, 야간당직 등을 도맡으며 전공의들의 이탈로 인한 '의료 공백'을 메우고 있다.

이달 말 수련 종료를 앞둔 전공의(레지던트) 4년차들은 상당수가 병원에 남아 수련을 계속하고 있으나, 이달 말이 지나도 병원에 남을지는 미지수다.

4년차 레지던트들은 사직서 제출이 아니라, 이달 말에 근로계약이 끝난 뒤 그대로 병원을 떠나는 방식으로 집단행동에 힘을 보탤 수 있다.

더구나 상급종합병원의 마지막 '보루'인 교수들마저 동요할 조짐을 보인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병원 교수들이 구성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날 "이번 주말이 (의료대란) 사태의 골든타임"이라며 정부에 "전공의들이 납득할 만한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이들과 행동을 같이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활동 중인 비대위를 전국 단위로 확대 재편하고, 전국에서 구성 중인 상급종합병원 비대위와 함께 움직이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빅5' 병원 관계자는 "아직 전임의나 교수들의 움직임이 구체화한 건 없지만, 분위기가 심상치 않은 건 사실"이라며 "이들까지 빠지게 되면 업무 공백이 더 커지기 때문에 수술과 진료를 더 축소해서 운영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