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公 노조사무실 84개…1명당 3개나 빼줬다
입력
수정
지면A27
법적 허용 전임자 최대 32명인데…불법 지원 논란서울교통공사가 소속 노동조합에 총 84개의 노조 사무실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적으로 허용된 노조 전임자(근로시간 면제자)가 최대 32명인 점을 고려할 때 노조 간부 1명당 최소 2.6개의 사무실을 주고 있는 것이다. 법적으로 허용된 수준을 넘는 불법 지원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노총에 58개·한노총 24개 등
공사측, 노조 요구 그대로 수용
면적 합치면 본사 사무실 육박
이런데도 공사 "사무공간 부족"
32억 들여 빌딩임대 추진 논란
노조 사무실 다 합치면 5563㎡
25일 서울교통공사가 소영철 서울시의회 의원(국민의힘)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공사는 이날 현재 총 3개 노조에 모두 84개 사무실을 제공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제1노조인 민주노동조합총연맹 소속 서울교통공사노조에 58개, 제2노조인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소속 서울교통공사 통합노조에 24개, 제3노조인 올바른노조에 2개다. 이들 84개 사무실 전체 넓이는 5563㎡에 달한다. 이는 공사 직원 500여 명이 쓰고 있는 서울 용답동 본사 사무 공간 면적 5601㎡(사장실 포함) 규모와 비슷하다.조합원 수를 고려할 때 공사에 법적으로 허용되는 노조 전임자는 모두 파트타임으로 근무한다고 해도 최대 32명까지 인정된다. 풀타임 전임자를 둘 경우 이는 더 줄어든다. 공사는 합법적 노조 전임자 1명당 적어도 2.6개 사무실을 제공하고 있는 셈이다.
현행 노동조합법상 회사는 노조에 ‘최소한 규모’의 사무실을 제공하는 것만 부당노동행위로 보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사의 노조 사무실 제공은 이를 넘어서는 불법 지원에 해당할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노조 사무실 상당수가 공사 사무실 면적 규정도 어기고 있다. 공사의 ‘사무실(기능실) 운영 예규’에서 노조 사무실 1곳의 면적을 ‘50㎡ 이내’로 규정하고 있지만 84곳 중 30여 곳 사무실은 50㎡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1노조가 쓰고 있는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역 지하 1층 노조 사무실과 회의실은 376㎡가 넘는다. 심지어 이 사무실을 비롯한 3곳의 사무실은 ‘이용 빈도 저조’로 판단받았다.
김상민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는 “과도한 노조 사무실 지원은 노조의 자주적 운영을 침해하는 ‘원조행위’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과도한 사무실 지원 정상화해야”
공사가 이처럼 비정상적인 규모의 노조 사무실을 제공하게 된 배경에는 노조 요구를 지속적으로 받아들여 준 결과다. 공사 소속 노조들은 노조 전임자가 315명, 관리 역사가 275곳에 달하는 점 등을 내세우며 노조 사무실 확장을 요구해 왔다. 규정상 타임오프 전임자는 연간 단위로 사전 지정해야 하지만 공사 노조는 이를 어기고 매달 파트타임 전임자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총 315명의 노조 전임자를 지정해 왔다. 공사는 이 과정에서 타임오프를 악용한 노조 간부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징계 절차에 착수하기도 했다.이런 가운데 공사는 사무 공간이 부족하다며 32억원(시설비 15억원, 보증금 7억원, 연간 임대료 10억원)을 들여 1700㎡ 규모의 서울 사당 소재 빌딩 임대를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일각에서 노조가 쓰지 않는 일부 공간만 돌려받아도 사무 공간이 확보되는 만큼 노조 사무실을 회수하는 게 우선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공사는 지난해 말 기준 누적 적자가 18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공사는 지난해 12월 행정 사무감사 조치계획에선 노조에 소송을 제기하고 사무실 회수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최근엔 “노조를 설득하겠다”며 입장을 바꿨다. 사무실 허용 면적 기준도 50㎡에서 100㎡로 확대를 추진 중이다. 공사의 ‘노조 봐주기’가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소영철 의원은 “법에 따라 노조 사무실만 운영해도 업무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공사는 적법한 범위를 넘어 과도하게 노조 사무실을 제공하는 악습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용희/ 이상은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