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에 더 중요해진 동남아…"韓, 소비재 수출도 신경써야"
입력
수정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이후 동남아시아 지역의 위상이 크게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재 수출이 확대되는 것은 물론 대규모 소비시장으로 떠올라서다.
한국은행은 27일 '우리나라의 對아세안5 수출 특징 및 향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한국의 대아세안 5개국(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수출은 지난 2010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흑자규모가 중국과의 무역에서 벌어들이는 것 이상으로 늘어났다. 2023년 기준 흑자규모는 236억 달러로 미국(445억 달러) 다음으로 많다.아세안 지역이 뜨는 것은 중간재 수출 때문이다. 중국의 임금 수준이 높아지면서 '세계의 공장' 역할을 이 지역이 넘겨받는 모습이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중국 외 생산기지 필요성을 자극한 측면도 있다. 소비 시장으로 성장할 가능성도 높다. 인구가 많은 지역이어서다.
한국은 주로 중간재를 수출하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가 20% 이상을 차지한다. 석유제품·화공품 등 다른 품목을 합친 중간재 비중은 89%에 이른다.
한국이 수출한 중간재 중 절반은 이들 국가의 소비와 투자로 인한 생산에 활용됐지만 나머지 절반은 미국(11%)과 중국(9%)으로 귀착된 것으로 파악됐다. 해외 귀착 비중은 미중 갈등 이후 확대됐다. 2022년 미국 및 유럽연합(EU)으로 귀착된 비중은 2015년에 비해 5.6%포인트 늘었다. 중국은 같은 기간 4.6%포인트 확대됐다. 반면 동남아 지역으로 귀착된 비중은 7.7%포인트 축소됐다.하지만 소비재 비중은 극히 낮은 상황이다. 한국의 수출 품목 중 식품, 의복 등 최종재는 5% 수준에 불과하다. 한은은 "아세안 수출이 꾸준히 성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산기지로서의 활용 측면에서 우리 주력 중간재의 질적 고도화에 힘쓰는 한편, 아세안의 인구 및 소비시장 성장 가능성을 감안해 양질의 소비재 수출 증대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한국은행은 27일 '우리나라의 對아세안5 수출 특징 및 향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한국의 대아세안 5개국(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수출은 지난 2010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흑자규모가 중국과의 무역에서 벌어들이는 것 이상으로 늘어났다. 2023년 기준 흑자규모는 236억 달러로 미국(445억 달러) 다음으로 많다.아세안 지역이 뜨는 것은 중간재 수출 때문이다. 중국의 임금 수준이 높아지면서 '세계의 공장' 역할을 이 지역이 넘겨받는 모습이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중국 외 생산기지 필요성을 자극한 측면도 있다. 소비 시장으로 성장할 가능성도 높다. 인구가 많은 지역이어서다.
한국은 주로 중간재를 수출하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가 20% 이상을 차지한다. 석유제품·화공품 등 다른 품목을 합친 중간재 비중은 89%에 이른다.
한국이 수출한 중간재 중 절반은 이들 국가의 소비와 투자로 인한 생산에 활용됐지만 나머지 절반은 미국(11%)과 중국(9%)으로 귀착된 것으로 파악됐다. 해외 귀착 비중은 미중 갈등 이후 확대됐다. 2022년 미국 및 유럽연합(EU)으로 귀착된 비중은 2015년에 비해 5.6%포인트 늘었다. 중국은 같은 기간 4.6%포인트 확대됐다. 반면 동남아 지역으로 귀착된 비중은 7.7%포인트 축소됐다.하지만 소비재 비중은 극히 낮은 상황이다. 한국의 수출 품목 중 식품, 의복 등 최종재는 5% 수준에 불과하다. 한은은 "아세안 수출이 꾸준히 성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산기지로서의 활용 측면에서 우리 주력 중간재의 질적 고도화에 힘쓰는 한편, 아세안의 인구 및 소비시장 성장 가능성을 감안해 양질의 소비재 수출 증대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