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흥길 '필생의 역작' <문신> 완간… "민족의 귀소본능 그려"
입력
수정
5부작 완간까지 25년 걸려거대담론보다는 미세각론에, 사회보다는 개인의 내면에 천착하는 요즘 국내 소설의 흐름에 대하소설은 분명 어울리지 않는다. 소설가 윤흥길(82·사진)이 최근 완간한 5부작 장편소설 <문신>은 명맥이 끊긴 듯한 국내 대하소설의 맥을 잇는 작품이다.
원고지 6500매짜리 대작
일제강점기 제국주의 모순 묘사
1~3부작으로 박경리문학상 수상작
윤흥길은 소설 <장마>,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등으로 현대문학사에 족적을 남긴 문단계 거장이다. 그가 자그마치 25년 걸려 집필한 이번 소설 <문선>은 2018년 1~3권이 먼저 발표된 후 완결되지 않은 상태로 박경리문학상을 받았다. 얼마 전 4·5권이 출간돼 완성됐다. 원고지 6500매가 넘는 방대한 분량이다. 소설의 배경은 일제강점기, 전라도에 있는 가상의 지역 산서면이다. 법의 빈틈을 파고들어 막대한 부를 쌓은 대지주 최명배 일가의 엇갈린 신념과 욕망, 갈등 등을 그려냈다. 부와 권력을 위해 적극적으로 친일 행보를 이어 온 최명배의 자식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비극의 시대를 마주한다. 큰아들 부용은 폐결핵에 걸리고 첫째딸 순금은 약혼자의 죽음을 겪는다. 막내아들 귀용은 사회주의 운동에 필요하다며 아버지에게 칼을 겨누고 재산을 가져간다. 그 와중에 강제징용과 징병의 서슬이 마을을 조여온다. 작가는 소설의 발상이 우리 민족의 귀소본능을 담고 있는 두 가지 풍습으로부터 출발했다고 밝혔다. 하나는 전쟁터에 나갈 때 몸에 문신을 새기는 부병자자(赴兵刺字)의 풍습이다. 전쟁에서 죽게 되면 시신이라도 고향에 돌아와 묻힐 수 있도록 누군지 식별할 수 있게 만드는 일종의 표식이다.
다른 하나는 해외 강제노역에 시달리던 조선인들이 고향을 그리며 아리랑 곡조에 맞춰 개사해 부른 '밟아도 아리랑'이다. 윤흥길은 지난 27일 출간간담회에서 "지금도 명절만 되면 고향을 찾아 대이동이 이뤄지지 않느냐"며 "고향을 그리워하고 돌아가고자 하는 우리 고유의 본능을 그렸다"고 말했다. 소설 속 최명배가 보이는 모순적 행동은 제국주의의 모순을 나타낸다. 최명배는 조상신위(조상의 사진이나 위패)를 끔찍이 여기면서도 가장 먼저 창씨개명을 하고, 읍내에서 천황폐하 만세삼창을 외치는 인물. 악인이지만 마냥 미워할 수만은 없다. 해학적 문장이 악인의 행동에도 웃음을 유발하고, 한편으로 동정과 연민을 느끼게 만든다.
그밖에 소설에는 윤흥길 소설 특유의 역사적이고 구체적인 인간들이 등장한다. 어릴 적 열병을 앓아 정신지체아가 된 머슴 춘풍이, 부엌 어멈 섭섭이네 등 장소와 시대에서 이탈된 추상적인 인간이 아니라, 살고 있는 시대와 환경의 지울 수 없는 특징을 지닌 캐릭터들이다. 한 시대가 만들어 낸 산물로서의 인물들이 작품에 생동감을 불어넣는다.
마치 판소리를 듣는 듯 리듬감 있는 문체와 풍성한 언어의 향연이 이어진다. 윤흥길은 "기존에는 독자의 가독성을 고려해서 문장을 썼지만, 이번 작품은 조금 불친절해지기로 마음 먹었다"며 "판소리의 율조를 흉내내기 위해 어순을 바꾸거나 조사를 생략하는 등 문장의 특색을 살리려고 신경썼다"고 설명했다. 인물들의 대화엔 전라도 사투리나 비속어도 많이 녹아들어 있다. 생경한 어휘들도 많다. 윤흥길은 "어릴 때부터 국어사전을 읽는 것이 취미라 이를 통해 얻은 어휘를 일부러 작품에 많이 집어넣었다"며 "인물의 대화가 아닌 지문에서 사용된 어휘는 낯설어 보이지만 모두 표준어"라고 설명했다.
이번 작품은 윤흥길에게 작가로서 '필생의 역작'이다. 마지막 4·5권을 마무리하기까지 5년이 넘는 시간이 걸린 건 집필 중 심혈관 질환 등으로 건강이 악화해서다. 그래도 펜을 놓지 않았다.
"문학적 경향이 하나의 유행으로 수렴하는 건 굉장히 반대하는 쪽입니다. 후배작가들에게 작품은 이렇게 써야하는 것이다, 이런 말은 하고 싶지 않아요. 다만 젊은 세대가 추구하는 문학적 경향과는 다른 걸 고집스럽게 보여줄 나이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에 어울리지 않는 불친절한 소설로……."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