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 경제이해력 50점대…경제 교육 이대로는 안 된다
입력
수정
지면A23
전 국민 경제이해력 점수가 58.7점으로 나왔다. 기획재정부가 지난해 18~79세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2년 전보다 2.4점 올랐지만 여전히 ‘과락 수준’이다. 반복되는 결과지만 볼 때마다 놀랍다.
기준금리나 정기예금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10명 중 6명을 넘었다. 세금에 대한 기본 문제에서도 정답률이 49.3%에 불과했다. 금리나 세금 같은 기본 경제 지식도 없이 사회생활을 하는 국민이 절반이 넘는다는 소리다.더 큰 문제는 학생들이다. 2022년 기준 전국 초·중·고교 학생의 경제이해력 점수는 60점이었다. 전 국민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걱정되는 건 추세다. 나이가 들수록 경제이해력이 떨어지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초등 6학년 점수(65점)가 가장 높았고, 중학교 3학년(58점)과 고교 2학년(57점) 점수가 그보다 낮았다. 대학 입시 때문에 어렵고 복잡한 경제 과목을 일찍부터 제쳐놓은 결과다. 멀쩡한 대학을 나오고도 빚투, 영끌 투자에 휩쓸렸다가 쪽박 차고,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2030세대가 늘고 있는 게 하나도 이상하지 않다.
사회인도 학생들도 모두 경제·금융교육을 제대로 받고 싶다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정부의 해법이 이상하다. 기재부는 오는 6월 디지털 경제교육 플랫폼을 만들어 직접 경제교육에 나서겠다고 했다. 금융감독원도 한국은행도 비슷한 계획을 내놓고 있다. 부처가 경쟁적으로 직접 경제교육을 하는 게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중요한 것은 학교 내 경제교육의 정상화다. 정부가 2028년도 입시 때부터 경제 과목을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그걸로는 충분치 않다. 학생들이 원하는 경제교육 커리큘럼을 늘리고, 지도 교사 양성에 나서야 한다. 경제 교사가 부족하다면 인공지능(AI) 교육처럼 민간의 도움을 받는 방법도 적극 강구해야 한다.
기준금리나 정기예금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10명 중 6명을 넘었다. 세금에 대한 기본 문제에서도 정답률이 49.3%에 불과했다. 금리나 세금 같은 기본 경제 지식도 없이 사회생활을 하는 국민이 절반이 넘는다는 소리다.더 큰 문제는 학생들이다. 2022년 기준 전국 초·중·고교 학생의 경제이해력 점수는 60점이었다. 전 국민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걱정되는 건 추세다. 나이가 들수록 경제이해력이 떨어지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초등 6학년 점수(65점)가 가장 높았고, 중학교 3학년(58점)과 고교 2학년(57점) 점수가 그보다 낮았다. 대학 입시 때문에 어렵고 복잡한 경제 과목을 일찍부터 제쳐놓은 결과다. 멀쩡한 대학을 나오고도 빚투, 영끌 투자에 휩쓸렸다가 쪽박 차고,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2030세대가 늘고 있는 게 하나도 이상하지 않다.
사회인도 학생들도 모두 경제·금융교육을 제대로 받고 싶다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정부의 해법이 이상하다. 기재부는 오는 6월 디지털 경제교육 플랫폼을 만들어 직접 경제교육에 나서겠다고 했다. 금융감독원도 한국은행도 비슷한 계획을 내놓고 있다. 부처가 경쟁적으로 직접 경제교육을 하는 게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중요한 것은 학교 내 경제교육의 정상화다. 정부가 2028년도 입시 때부터 경제 과목을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그걸로는 충분치 않다. 학생들이 원하는 경제교육 커리큘럼을 늘리고, 지도 교사 양성에 나서야 한다. 경제 교사가 부족하다면 인공지능(AI) 교육처럼 민간의 도움을 받는 방법도 적극 강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