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사는데 뭔가 허전한 대한민국? 이젠 예술이 채울 때다
입력
수정
[arte]서진석의 아트 앤 더 시티대한민국은 세계사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압축성장의 나라이다. 비록 타자에 의해 근대화가 되었지만, 기술적 근대화(산업발전)와 사회적 근대화(민주화) 둘 다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낸 국가이다. 1960년대 일 인당 국민소득이 82달러에서, 2023년 3만3000달러이니 겨우 반세기 만에 약 400배의 경제 성장을 이루어 낸 것이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해도 이렇게 급격한 성장과 변화를 겪은 나라는 대한민국이 아마 유일할 것이다. 우리 스스로도 대견해하며 자부심을 느낄만하다.
이렇게 한국이 고속 성장을 이루어 낸 근본적 동인은 무엇이었을까? 우연히도 필자는 이에 대해 정부 산하 모 경제연구소에서 발표한 논문을 본 적이 있었다. 이 자료에서는 약 3가지 요인을 언급하고 있었다. 첫째는 전 국민의 대단한 교육열이었고, 둘째는 전 국민의 엄청난 근면성이었다. 마지막으로는 정부 주도의 강력한 리더십이었다. 한마디로 우리 선배님들은 정부 주도의 경제정책 아래서 그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일을 했다는 것이다.그러나 이 논문 말미에는 경제 성장이라는 성취 이면에 발생한 부정적 사회현상도 언급하고 있었다. 물리적 성장인 기술적 근대화에만 몰두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사회적 근대화와 긴 틈이 발생하며 ‘문화지체’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자본 만능의 위계 사회, 인본의 품격이 상실된 사회는 서로 간의 갈등을 증폭시킨다. 한마디로 우리나라는 노블리스 오블리제가 상실된 졸부 국가란 것이다. 동시대의 이기주의, 이념갈등, 계층갈등 등의 부정적 사회 현상들도 이러한 사회적 배경의 연장선일 지도 모른다.
/서진석 부산시립미술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