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6월말까지 감산 연장…잠잠하던 유가 더 오르나
입력
수정
러시아 '깜짝 감산' 발표로 유가 추가 상승 전망
하반기 감산정책 결정하는 6월1일 반기 OPEC+ 장관회의 주목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 회원국들이 지정학적 긴장에도 약세를 보이는 국제 유가를 떠받치기 위해 2분기까지 자발적 감산을 연장함에 따라 향후 유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OPEC의 리더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달 말로 만료되는 하루 100만 배럴(bpd) 감산 조치를 6월 말까지 연장, 산유량을 900만 bpd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러시아도 2분기 석유 생산량과 수출량을 47만1천 bpd 추가 감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쿠웨이트, 알제리, 카자흐스탄, 오만, 이라크, 아랍에미리트도 자발적 감산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는 미국의 생산량 증가와 부진한 글로벌 수요에 따른 가격 약세를 차단하기 위해 2022년 이후 OPEC+ 회원국들이 취해온 일련의 감산 조치가 3개월 연장되는 것이다.
최근 추가 감산 조치가 발표됐던 지난해 11월 이후 브렌트유는 6%,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8% 가까이 상승한 바 있다.
하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간 분쟁과 예멘의 친이란 반군인 후티의 상업용 선박 공격 등 중동지역 긴장에도 유가는 2022년 여름 당시 보였던 배럴당 100달러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지난주 시장에서는 감산 연장을 예상, 브렌트유는 2% 이상 상승한 배럴당 83.62달러, WTI는 4% 이상 오른 79.97달러를 각각 기록해 4일 유가 동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시장에서는 러시아의 깜짝 감산 발표로 국제유가가 추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UBS의 지오바니 스타우노보 애널리스트는 "러시아의 발표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깜짝 조치이며, 유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현재 2022년 10월에 비해 생산량을 하루 200만 bpd를 감산하고 있으며, 지난 1월에는 2027년까지 하루 석유 생산량을 확대하려는 계획을 철회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의 야심 찬 경제 개혁 프로그램에 소요되는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수준이어야 하지만 미국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미칠 영향으로 인해 감산에 반대하고 있다.
이제 시장은 회원국들의 하반기 생산정책에 대한 의견이 조율될 예정인 6월1일 반기 OPEC+ 장관회의로 눈을 돌리고 있다.
에너지 애스팩츠의 암리타 센 리서치 이사는 "회원국들은 하반기 증산을 희망하고 있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이들은 공급과잉을 절대로 원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올해 석유 수요 전망은 매우 불투명한 상황으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석유 수요가 지난해의 절반 수준인 122만 bpd 증가할 것으로 보는 반면 OPEC은 이보다 훨씬 많은 225만 bpd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EA는 또 올해 석유 공급이 약 1억3천380만 배럴 늘어날 것이라면서 이는 미국, 브라질, 가이아나 등 OPEC+ 비(非)회원국들에 의해 주도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
하반기 감산정책 결정하는 6월1일 반기 OPEC+ 장관회의 주목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 회원국들이 지정학적 긴장에도 약세를 보이는 국제 유가를 떠받치기 위해 2분기까지 자발적 감산을 연장함에 따라 향후 유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OPEC의 리더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달 말로 만료되는 하루 100만 배럴(bpd) 감산 조치를 6월 말까지 연장, 산유량을 900만 bpd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러시아도 2분기 석유 생산량과 수출량을 47만1천 bpd 추가 감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쿠웨이트, 알제리, 카자흐스탄, 오만, 이라크, 아랍에미리트도 자발적 감산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는 미국의 생산량 증가와 부진한 글로벌 수요에 따른 가격 약세를 차단하기 위해 2022년 이후 OPEC+ 회원국들이 취해온 일련의 감산 조치가 3개월 연장되는 것이다.
최근 추가 감산 조치가 발표됐던 지난해 11월 이후 브렌트유는 6%,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8% 가까이 상승한 바 있다.
하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간 분쟁과 예멘의 친이란 반군인 후티의 상업용 선박 공격 등 중동지역 긴장에도 유가는 2022년 여름 당시 보였던 배럴당 100달러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지난주 시장에서는 감산 연장을 예상, 브렌트유는 2% 이상 상승한 배럴당 83.62달러, WTI는 4% 이상 오른 79.97달러를 각각 기록해 4일 유가 동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시장에서는 러시아의 깜짝 감산 발표로 국제유가가 추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UBS의 지오바니 스타우노보 애널리스트는 "러시아의 발표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깜짝 조치이며, 유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현재 2022년 10월에 비해 생산량을 하루 200만 bpd를 감산하고 있으며, 지난 1월에는 2027년까지 하루 석유 생산량을 확대하려는 계획을 철회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의 야심 찬 경제 개혁 프로그램에 소요되는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수준이어야 하지만 미국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미칠 영향으로 인해 감산에 반대하고 있다.
이제 시장은 회원국들의 하반기 생산정책에 대한 의견이 조율될 예정인 6월1일 반기 OPEC+ 장관회의로 눈을 돌리고 있다.
에너지 애스팩츠의 암리타 센 리서치 이사는 "회원국들은 하반기 증산을 희망하고 있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이들은 공급과잉을 절대로 원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올해 석유 수요 전망은 매우 불투명한 상황으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석유 수요가 지난해의 절반 수준인 122만 bpd 증가할 것으로 보는 반면 OPEC은 이보다 훨씬 많은 225만 bpd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EA는 또 올해 석유 공급이 약 1억3천380만 배럴 늘어날 것이라면서 이는 미국, 브라질, 가이아나 등 OPEC+ 비(非)회원국들에 의해 주도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