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염없이 고도를 기다리는 나의 아버지께 "내일은 고도가 꼭 올 거예요"
입력
수정
[arte] 김상우의 아주 사적인 연극일기아일랜드 작가 사무엘 베케트가 1952년 발표한 부조리극 ‘고도를 기다리며’ 는 우리나라에서 1969년 초연했다. 40년 넘게 산울림 소극장에서 임영웅 연출로 2천여 회 이상 무대에 올려져 50만명이 넘는 관객이 관람했다. 나는 2009년에 처음 이 작품을 봤고 2015년 초연 45돌 기념 공연을 다시 봤다. 당시 배역은 블라디미르, 에스트라공에 한명구, 박상종. 포조 역에 이호성 배우였다. 6년만에 다시 봤던 그 공연은 신기하게도 처음과 전혀 다른 느낌이었다. 당시에 나는 뭔가 힘든 일을 겪는 중이었는데 고고, 디디가 올지 안 올지 모르는 고도를 하염없이 기다리는 모습에 내가 겹쳐 보이며 눈물이 핑 돌았던 것 같다. ‘고도를 기다리며’는 그런 작품이다. 보는 사람의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해석된다. 1957년 미국 캘리포니아의 어느 교도소에서는 죄수들이 이 연극을 보고 눈물을 흘리고 기립박수를 치며 열렬한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옛 영화 ‘잡초(Weeds)’ 에서도 무기수인 주인공 닉 놀테가 교도소에서 이 연극을 보고 충격을 받는 장면이 나온다. 누군가에게 고도는 ‘자유’일 수도 있고 ‘신(神)’ 일 수 있으며 ‘새로운 세상’ 일 수도 있다. 이번 공연의 캐스팅은 신구, 박근형, 김학철, 박정자 배우였다. 여든을 넘기신 노배우들께서 대사도 많고 공연 시간도 긴 이 작품을 하신다니 걱정 반 기대 반으로 극장을 찾았다. 이번 공연 역시 10년 전과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2시간이 넘는 공연 내내 나의 아버지를 떠올렸다.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이지만 이 칼럼의 제목이 ‘사적인 연극 일기’ 이므로 적어본다. 4년 전 어머니가 돌아가신 이후 아버지는 그 집에서 혼자 지냈다. 연로하여 몸이 예전 같지 않자 공단의 요양등급을 받아 요양 보호사님이 매일 집으로 와 살림을 도왔다. 거실과 방마다 카메라를 설치해 나는 수시로 핸드폰으로 아버지를 확인했다. 보호사님 퇴근 이후 화면 속의 아버지는 주로 멍하니 TV만 보고 있었다. 단기기억력이 급격히 안 좋아진 것은 작년부터였다. 현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했고, 복용하는 약을 먹었는지 안 먹었는지 알지 못했다. 여러 고민 끝에 좋다는 요양원을 알아봤고 지난 겨울 그 곳에 들어가셨다.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
2000여 회 이상 무대에 오른 작품
관객 저마다 다르게 해석되는 고도
신구, 박근형 노배우들의 열연 돋보여
고고(신구)는 점점 기억을 잃고 있다. 자신이 왜 이 곳에 있는지, 언제부터 있었는지 가물가물하다. 어제 만난 포조와 럭키의 일도 잘 기억하지 못한다. 고고는 곁에 있는 디디(박근형)에게 자꾸 말한다.
“이제 그만 가자.”
디디가 고고에게 말한다.
“가긴 어딜 가, 고도를 기다려야지.”
“아, 그렇지.” 고고와 디디의 대화가 최근 나와 아버지의 대화와 얼마나 비슷한지 나는 깜짝 놀랐다. 어떤 날은 아버지의 전화를 열몇 번 받는다. 같은 질문을 하고 또 한다. “아버지, 그거 어제 했잖아요.” “그게 어제였다고?” 디디도 고고에게 말한다. “어제 우리가 여기 왔었잖아, 저 나무를 보라고.”베케트가 경도인지장애를 소재로 희곡을 쓰진 않았겠지만 요즘 아버지와 나의 대화 또한 한편의 부조리극이다. 같은 질문을 반복하고, 잘 듣지 못하고, 더러 맥락이 없다. 이번 작품에서 고고와 디디 역할을 노배우들이 맡으니 노년의 쓸쓸하고 애잔한 느낌이 몇 배 더하여 마음 한구석이 아려왔다.
고고와 디디 뿐 아니라 포조와 럭키 또한 이번엔 늙어가는 것에 대해 말하는 것만 같았다. 1막과 달리 장님이 되어 2막에 등장하는 포조가 말한다. “어느 날 나는 눈이 멀었고 어느 날 우리는 귀머거리가 될 것이오. 어느 날 우리는 태어났고 어느 날 우리는 죽을 것이오. 똑 같은 날 똑 같은 시간에 말이오. 태어날 때부터 무덤에 걸터앉게 되는 것이오. 눈 깜빡할 사이에 빛이 비치고는 또 다시 밤이 되는 것이오.” 디디를 보며 나는 부끄러웠다. 디디는 기억을 잃어가는 고고를 늘 다정하게 대한다. 어디선가 얻어맞고 오는 디디를 보면 우선 팔 벌려 안아준다. “이리와, 안아줄게.” 고고가 잠들 땐 어깨를 내주고 당근을 좋아하는 고고에게 당근을 준다. 나는 아버지에게 디디 같은 존재였을까? 언제부터인지 하염없이 같은 질문을 하는 아버지에게 성마른 대답과 짜증을 내곤 하는 내 모습이 보였다. 나는 디디보다 이 연극에 나오는 양치기 소년과 비슷했다. 곁을 안 주고 멀찌감치 서서 “고도씨는 오늘은 못 오지만 내일 꼭 오실 거에요.” 라고 실체 없는 위로와 격려만 반복했다. “아버지, 내일은 나아질 거에요.” “그곳에 가면 좋아질 거에요.”
2시간 반이 넘는 공연이 끝나고 커튼콜에서 관객들은 배우들에게 기립박수를 보냈다. 원캐스팅으로 이 작품을 해내신 노배우들에게 나도 존경의 마음이 우러났다. 연극은 끝났고 배우도 관객들도 일상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나의 아버지는 지금도 여전히 자신의 방에서 그만의 고도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나는 아마 이번 주말에도 아버지를 찾아가 말할 것이다. “내일은 고도가 꼭 올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