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첨단 바이오가 미래 성장동력…어려워도 반드시 가야 할 길

오늘까지 사흘 일정으로 제주에서 열리는 ‘2024 한경바이오인사이트포럼’은 희망과 과제를 동시에 던졌다. ‘K바이오’ 위상과 체급이 몰라보게 달라지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가 많았다. 유한양행은 내년에 2개 이상의 신약 출시를 예고했고, 한올바이오파마 박셀바이오 등의 퍼스트 인 클래스(계열 내 세계 최초) 신약개발도 든든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카카오브레인의 신약개발 혁신 발표 역시 인상 깊었다.

전체적으로는 뼈아픈 지적이 많았다. 참석자들은 임상시험 점유율 세계 5위로 부상했지만 여전히 ‘후기 임상(2·3상) 경험 부족’이라는 족쇄에 갇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연구 역량이 충분함에도 규모의 경제 미흡과 인프라 미비 탓에 기술수출로 급선회하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바이오벤처 투자가 개발 초기에 집중된 점도 완주 포기 이유로 꼽혔다.포럼을 통해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바이오·디지털 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까지 갈 길이 멀다는 점이 새삼 확인됐다. 디지털 헬스케어 첫걸음인 상시 비대면진료는 물론이고 약 배송 플랫폼·디지털 의료기기 활성화도 덕지덕지 규제 탓에 지지부진하다.

첨단 바이오헬스케어는 AI에 버금가는 미래산업이다. AI 구루 반열에 오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금이라면 생명과학·공학 전공을 선택할 것”이라고 말할 정도다. 한국은 말만 풍성할 뿐 바이오헬스산업 도약의 필수조건인 의사과학자 및 의료산업 육성에서부터 좌초 위기다. 윤석열 대통령 말처럼 ‘의대 증원은 의료개혁의 선결조건’임에도 의사들의 극렬한 반발에 봉착해 있다.

‘바이오헬스 6대 강국’ 목표를 달성하려면 정부의 의지와 노력이 필수다. 세계 1위 보스턴바이오클러스터 육성을 위해 미국은 규제완화와 세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과감한 재정 투입으로 그 50배의 민간 투자를 이끌어냈다. 의사과학자를 택하는 졸업생이 연 20~30명에 불과하고 돈 되는 ‘피·안·성(피부과 안과 성형외과)’으로만 몰리는 현실을 바꾸지 않고 바이오헬스산업을 키울 수 있는 마법은 없다. 미국에선 해마다 1700명의 의사과학자가 배출된다. 이번 의대 증원은 첨단 헬스바이오산업 새판짜기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