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어딜 가든 꽃길·녹지…도심 정원 1007곳 만든다
입력
수정
지면A31
'매력·동행가든' 프로젝트 발표서울시내 도심 정원이 2026년까지 1000여 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 곳곳에 정원을 촘촘히 조성해 어디서든 걸어서 정원에 갈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2026년까지 예산 2659억 투입
서울시는 7일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매력가든·동행가든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5월과 올해 신년사에서 제시한 ‘정원도시 서울’ 비전을 구체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150여 곳, 연내 335개의 정원을 꾸미고 3년간 지속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수연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장은 이날 “1주일에 한 번 이상 정원에서 시간을 보내면 스트레스를 겪는 횟수가 60%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지난 20년간 서울의 공원이 ‘시민 가까이’ 가는 데 부족했다고 지적했다.프로젝트에 따라 시는 2026년까지 3년 동안 약 2659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출퇴근길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매력가든’ 897곳, 시민이 함께 가꾸는 ‘동행가든’ 110곳을 꾸미게 된다. 놀고 있는 빈 땅을 꽃정원·도시자연공원구역·숲길정원 등으로 조성하고 민간이 보유한 빈집도 사들여 꽃이 피는 정원으로 바꿀 계획이다. 한강 인근과 둘레길 주변을 정원으로 만들고 거리 좌우의 녹지대도 개선한다. 노인복지관, 시립병원 등 약자가 많은 건물 인근에 특히 정원을 배치해 심리적 안정을 추구할 예정이다.서울시가 이날 강조한 부분은 ‘자연스럽게’였다. 인공구조물을 단순화해 식물과 잘 어울리게 배치하고, 식물의 높낮이는 물론 개화 시기를 고려해 봄·여름마다 서로 다른 꽃이 릴레이하듯 피도록 배치할 계획이라고 했다.
문제는 관리비용이다. 시는 올해 781억원, 내년 1008억원, 2026년 869억원을 배정했고 이후에는 특별히 추가 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현재 공원 관리비 수준에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국장은 “자연식생을 활용하고 관목류 등 손이 덜 가는 식물을 중심으로 배치해 이후 관리 부담이 크지 않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인건비 등이 더 들어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이날 시는 올해 10월 이후 뚝섬한강공원의 국가·지방정원 등록을 추진하겠다고도 발표했다. 공원을 지방정원으로 등록한 뒤 3년간 운영하면 산림청에 국가정원으로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