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주의 사회에서 '금수저'들이 성공하는 이유..'계급 천장'[서평]

샘 프리드먼·대니얼 로리슨
출신 계급에 따른 커리어 및 임금 격차
'특권'이 '능력'으로 오인돼
'싸구려 커피'로 B급 감성을 노래한 가수 장기하는 알고 보면 대형 서점 창업주의 손자다. 말춤으로 세계적인 스타가 된 싸이의 부친은 반도체 종합 장비 기업 대표고, 요식업계 전설로 여겨지는 사업가 백종원도 사학재단을 운영하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이들의 공통점은 중산층 이상의 가정에서 태어나 좋은 교육을 받고 자랐으며 가업과 관계 없는 분야에 도전해 성공했다는 점이다. 자라 온 환경에서 이들은 아마도 '별종' 취급을 받았을지도 모른다. 이들이 이룬 직업적 성공에 부모의 직접적인 지원이 없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과연 이들이 풍족하지 않은 환경에서 자랐더라도 별종이라고 불릴만한 '무모한 도전'에 나설 수 있었을까. <계급 천장>은 성공할 때까지 버티고 도전하는 용기를 내는 것도 이른바 '금수저'의 특권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의 저자는 영국 런던정경대와 미국 스워스모어칼리지에서 각각 계급 및 불평등 문제를 연구하는 샘 프리드먼과 대니얼 로리슨 교수다. 제목 '계급 천장'은 성별이나 인종 차별 등 조직 내 보이지 않는 장벽을 뜻하는 '유리 천장'에서 발전시킨 개념으로, 출신 계급이 초래하는 커리어와 임금 격차를 가리킨다.

저자들은 출신 계급에 따라 임금과 커리어 진전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능력'으로 포장된 '특권'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누구에게나 공평한 기회가 주어진 것처럼 보이는 능력은 사실 매우 모호한 개념이라는 설명이다. 능력으로 여겨지는 것의 많은 부분이 특정 계급의 문화나 언어, 취향, 행동 규범 등에서 비롯한 '계급화된 퍼포먼스'라는 것이다.
책에선 특권이 능력으로 오인되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엄마 아빠 은행'이 나온다. 예컨대 방송이나 연기처럼 불안정한 단기 계약과 저임금을 견뎌야 하는 직종에선 부모의 재력이 커리어 진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높은 주거비와 생활비를 감당하면서 기약 없는 오디션을 기다리는 일, 소모적인 캐릭터를 거절하는 일, 무보수에 가깝지만 미래에 도움이 되는 경력을 쌓아가는 일은 모두 든든한 배경이 없다면 불가능한 것들이다. 기존의 사회 이동성 연구가 직업에 진입하는 시점까지 파악하는 데 그쳤다면, 이 책은 직업 진입 이후 조직 내에서 적응하고 승진하기까지 계급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저자들은 노동 계급 출신은 설령 엘리트 직종에 진입한다 하더라도 그 안에서 새로운 벽에 부딪힌다고 설명한다. 엘리트 직종에 종사하는 노동 계급 출신은 같은 일을 하는 특권층 출신 동료보다 평균 16% 더 적게 버는 것으로 조사됐다. 격차가 가장 큰 금융과 법률 분야의 경우 소득이 연평균 약 3000만원 가량 차이가 났다. 조직 내 고위층으로 올라가는 비율도 다르다.

사회학 교수들의 연구를 정리한 책이지만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과정 등이 생생하게 기록돼 있어 마치 한 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특히 설문조사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직장 내부의 역학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직장 내 심층 인터뷰 등이 연구의 설득력과 생동감을 더한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