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밍웨이가 ‘내가 본 가장 센세이셔널한 여성’이라했던 베이커의 전시회
입력
수정
[arte] 변현주의 Why Berlin베를린은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최초로 공휴일로 지정한 도시이다. 여성의 정치·경제·사회·예술적 업적 등을 기리는 이 날은 자유를 위한 저항, 다양성에 대한 포용을 실천하는 베를린에서 2019년 공휴일로 지정해 기념되며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이 같은 베를린의 정신을 반추하며 현재 신국립미술관 (Neue Nationalgalerie)에서 열리고 있는 전시 <조세핀 베이커: 움직이는 아이콘 (Josephine Baker: Icon in Motion)>을 소개하려 한다.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며
흑인 여성 최초로 메이저 영화에 출연. 흑인 여성 최초로 프랑스 팡테옹에 안장. 최초로 프랑스 20센트 동전의 얼굴이 된 흑인 여성. 이처럼 여러 가지 ‘최초’의 타이틀을 지닐 뿐 아니라 소설가 헤밍웨이가 ‘내가 본 가장 센세이셔널한 여성’이라 칭하고 비욘세가 그의 ‘바나나 코스튬’을 입으며 헌사를 바치기도 한 조세핀 베이커. 그는 1906년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출생했고 19세가 되던 해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극장에서 큰 화제를 불러 일으킨 공연을 펼친 후 프랑스 국적을 취득해 유럽을 주 무대로 활동한 댄서이자 가수, 배우, 레지스탕스, 페미니스트, 반인종주의 인권운동가였다.
깊고 폭넓은 리서치를 바탕으로 준비한 것이 분명해 보이는 《조세핀 베이커》는 다채로운 영상 자료를 모니터로 재생해 흑인 여성 최초로 메이저 영화에 출연한 그의 활약, 댄서로서의 화려한 기술과 움직임, 그가 부른 노래 등을 전시하며 조세핀 베이커가 어떠한 예술가였는지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시된 다수의 베이커의 흑백 사진들을 보며 그의 화려한 영향력을 짐작하게 하였다.
특히 20세기 초 당시 국제 예술 현장의 중심이었던 파리에서의 활발한 활동은 그를 아르데코(Art Deco)의 아이콘이자 수많은 아티스트의 뮤즈로 추앙 받게 했다. 전시는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Le Corbuisier)나 파울 클레(Paul Klee)가 그를 그린 드로잉,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가 헌사한 그림,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가 그를 위해 만든 모빌 등을 선보이며 당시 그들의 예술적 교류를 상상하게 한다.
조세핀 베이커를 더욱 흥미로운 인물로 만드는 지점은 바로 그가 예술가로서 활동한 것뿐 아니라 레지스탕스이자 스파이, 페미니스트, 인권운동가로 활동했다는 점이다. 제 2차 세계대전 중 독일 나치가 프랑스를 침공했을 때 베이커는 레지스탕스에 가담해 적들 앞에서 공연하며 기밀 정보를 전하는 스파이로 활약했다고 한다.
전쟁 이후 1950년대부터 1975년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그는 점차 예술가로서의 활동보다 인권운동가로서 인종차별과 여성 인권을 대변하는 활동을 넓혀 갔다. 그러한 조세핀 베이커의 활동은 높이 평가 받아 1961년 프랑스 군으로부터 무공 십자훈장을 받았고,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의 연설로 유명한 1963년 워싱턴 행진을 함께 하기도 했다. 이후 서로 다른 인종과 국적을 지닌 12명의 자녀를 입양해 키우며 자신의 사상을 몸소 실천했고, 2021년 흑인 여성 최초로 프랑스에 공헌한 위인들이 묻히는 국립묘지인 팡테옹에 안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