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펜하이머' 오스카 돌풍…'무관의 제왕' 놀런 첫 수상(종합2보)
입력
수정
작품상·감독상 등 7관왕…여우주연상은 '가여운 것들' 에마 스톤
한국계 셀린 송 감독 '패스트 라이브즈'는 수상 불발…日영화 2관왕
이변은 없었지만 다양성도 고려한 듯 미국의 핵무기 개발을 주도한 천재과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전기 영화인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오펜하이머'가 올해 미국 아카데미(오스카) 시상식에서 주요 상을 휩쓸었다. 한국계 셀린 송 감독의 '패스트 라이브즈'는 아쉽게도 상을 받지는 못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돌비 극장에서 열린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오펜하이머'는 최고상인 작품상을 비롯한 7개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아 올해 시상식의 최다 수상작이 됐다.
작품상 외에도 감독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촬영상, 편집상, 음악상이 '오펜하이머'에 돌아갔다. '오펜하이머'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핵무기 개발을 위한 맨해튼 프로젝트를 이끈 오펜하이머의 삶을 그린 전기 영화로, 전 세계적인 흥행 성적과 평단의 호평을 등에 업고 올해 아카데미상을 휩쓸 것으로 일찌감치 점쳐졌다.
후보로 오른 부문도 13개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시상식에서 동양적 정서가 짙고 아시아계가 활약한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가 작품상을 포함한 7관왕을 한 것과 달리 올해 시상식은 미국의 위인과 역사에 관한 이야기인 '오펜하이머'가 시상식의 주인공이었다.
놀런 감독은 이날 생애 처음으로 아카데미 감독상도 품에 안았다.
그는 '덩케르크'(2017), '인터스텔라'(2014), '다크 나이트 라이즈'(2012), '인셉션'(2010), '다크 나이트'(2008), '배트맨 비긴즈'(2005) 등 화려한 필모그래피에도 상복은 없었던 '무관의 제왕'이었다. 남우주연상도 '오펜하이머'의 킬리언 머피에게 돌아갔다.
그는 오펜하이머의 천재성과 인간적 고뇌를 생동감 있게 그려냈다고 평가받았다. 경합이 치열했던 여우주연상은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가여운 것들'에서 여자 프랑켄슈타인으로 혼신의 연기를 펼친 에마 스톤이 품에 안았다.
그의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은 이번이 두 번째다.
그는 '라라랜드'(2016)로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플라워 킬링 문'에서 깊은 호소력을 가진 연기를 한 릴리 글래드스톤이 아카데미 역사상 최초의 미국 원주민 출신 여우주연상 수상자가 될 것으로 기대되기도 했지만, 상을 받지는 못했다.
여우조연상은 '바튼 아카데미'에서 미국 명문고 주방장을 연기한 더바인 조이 랜돌프, 남우조연상은 '오펜하이머'에서 오펜하이머의 적수 스트로스를 연기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수상했다. 한국계 감독의 작품으로 주목받은 미국 영화 '패스트 라이브즈'는 작품상과 각본상에 노미네이트됐지만, 수상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각본상은 쥐스틴 트리에 감독의 '추락의 해부'에 돌아갔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가 다관왕을 한 작년과 비교하면 올해는 '아시안 돌풍'은 없었다.
다만 일본 영화 두 편과 프랑스 영화 '추락의 해부', 대사 대부분이 독일어와 폴란드어로 구성된 영국 영화 '존 오브 인터레스트' 등 외국 작품에 상을 분배하며 다양성을 확보했다.
일본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연출한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장편애니메이션상을 받았다.
미야자키 감독의 장편애니메이션상 수상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2)에 이어 두 번째다.
괴수 영화 '고질라 마이너스 원'까지 시각효과상을 가져가면서 일본은 2개 부문에서 수상작을 냈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에, '고질라 마이너스 원'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볼륨 3'와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파트 원' 등에 밀리는 양상이엇으나, 두 작품 모두 상을 타는 데 성공했다.
'존 오브 인터레스트'는 미국 외 국가 중 가장 뛰어난 작품에 수여하는 국제장편영화상과 음향상을 받아 2관왕을 차지했다. 장편다큐멘터리상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참상을 담은 므스티슬라프 체르노프 감독의 '마리우폴에서의 20일'이 받았다.
우크라이나 영화로는 첫 오스카 수상작이다.
지난해 시상식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적 알렉세이 나발니의 독살 시도를 다룬 '나발니'가 장편다큐멘터리상을 받은 데 이은 것으로,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 정서가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영상미가 뛰어난 '가여운 것들'은 의상상, 분장상, 미술상 등 관련 부문을 싹쓸이해 눈길을 끌었다.
10개 부문에 후보로 오른 '플라워 킬링 문'은 단 하나의 상도 못 받았다.
'오펜하이머'와 함께 개봉해 흥행을 이끌면서 '바벤하이머'라는 신조어를 낳기도 했던 '바비'는 주제가상 한 부문만 수상하는 데 그쳤다.
팝스타 빌리 아일리시와 그의 오빠 피니즈 오코널이 작곡한 삽입곡 '왓 워스 아이 메이드 포?'(What Was I Made For?)다.
이들 남매는 2022년에도 '007 노 타임 투 다이' 삽입곡으로 이 부문 상을 받은 바 있다.
올해 시상식에 한국 영화는 노미네이트되지 않았다.
한국 영화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2020년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비롯해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상까지 4관왕을 차지해 주목받았다.
이듬해 시상식에선 배우 윤여정이 한국계 정이삭 감독의 '미나리'로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이날 OCN과 tvN에서 아카데미 시상식 생중계해설을 맡은 이동진 영화평론가는 "파격과 예상이 골고루 균형 잡힌 시상이었다"고 평했다. /연합뉴스
한국계 셀린 송 감독 '패스트 라이브즈'는 수상 불발…日영화 2관왕
이변은 없었지만 다양성도 고려한 듯 미국의 핵무기 개발을 주도한 천재과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전기 영화인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오펜하이머'가 올해 미국 아카데미(오스카) 시상식에서 주요 상을 휩쓸었다. 한국계 셀린 송 감독의 '패스트 라이브즈'는 아쉽게도 상을 받지는 못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돌비 극장에서 열린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오펜하이머'는 최고상인 작품상을 비롯한 7개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아 올해 시상식의 최다 수상작이 됐다.
작품상 외에도 감독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촬영상, 편집상, 음악상이 '오펜하이머'에 돌아갔다. '오펜하이머'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핵무기 개발을 위한 맨해튼 프로젝트를 이끈 오펜하이머의 삶을 그린 전기 영화로, 전 세계적인 흥행 성적과 평단의 호평을 등에 업고 올해 아카데미상을 휩쓸 것으로 일찌감치 점쳐졌다.
후보로 오른 부문도 13개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시상식에서 동양적 정서가 짙고 아시아계가 활약한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가 작품상을 포함한 7관왕을 한 것과 달리 올해 시상식은 미국의 위인과 역사에 관한 이야기인 '오펜하이머'가 시상식의 주인공이었다.
놀런 감독은 이날 생애 처음으로 아카데미 감독상도 품에 안았다.
그는 '덩케르크'(2017), '인터스텔라'(2014), '다크 나이트 라이즈'(2012), '인셉션'(2010), '다크 나이트'(2008), '배트맨 비긴즈'(2005) 등 화려한 필모그래피에도 상복은 없었던 '무관의 제왕'이었다. 남우주연상도 '오펜하이머'의 킬리언 머피에게 돌아갔다.
그는 오펜하이머의 천재성과 인간적 고뇌를 생동감 있게 그려냈다고 평가받았다. 경합이 치열했던 여우주연상은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가여운 것들'에서 여자 프랑켄슈타인으로 혼신의 연기를 펼친 에마 스톤이 품에 안았다.
그의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은 이번이 두 번째다.
그는 '라라랜드'(2016)로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플라워 킬링 문'에서 깊은 호소력을 가진 연기를 한 릴리 글래드스톤이 아카데미 역사상 최초의 미국 원주민 출신 여우주연상 수상자가 될 것으로 기대되기도 했지만, 상을 받지는 못했다.
여우조연상은 '바튼 아카데미'에서 미국 명문고 주방장을 연기한 더바인 조이 랜돌프, 남우조연상은 '오펜하이머'에서 오펜하이머의 적수 스트로스를 연기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수상했다. 한국계 감독의 작품으로 주목받은 미국 영화 '패스트 라이브즈'는 작품상과 각본상에 노미네이트됐지만, 수상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각본상은 쥐스틴 트리에 감독의 '추락의 해부'에 돌아갔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가 다관왕을 한 작년과 비교하면 올해는 '아시안 돌풍'은 없었다.
다만 일본 영화 두 편과 프랑스 영화 '추락의 해부', 대사 대부분이 독일어와 폴란드어로 구성된 영국 영화 '존 오브 인터레스트' 등 외국 작품에 상을 분배하며 다양성을 확보했다.
일본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연출한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장편애니메이션상을 받았다.
미야자키 감독의 장편애니메이션상 수상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2)에 이어 두 번째다.
괴수 영화 '고질라 마이너스 원'까지 시각효과상을 가져가면서 일본은 2개 부문에서 수상작을 냈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에, '고질라 마이너스 원'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볼륨 3'와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파트 원' 등에 밀리는 양상이엇으나, 두 작품 모두 상을 타는 데 성공했다.
'존 오브 인터레스트'는 미국 외 국가 중 가장 뛰어난 작품에 수여하는 국제장편영화상과 음향상을 받아 2관왕을 차지했다. 장편다큐멘터리상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참상을 담은 므스티슬라프 체르노프 감독의 '마리우폴에서의 20일'이 받았다.
우크라이나 영화로는 첫 오스카 수상작이다.
지난해 시상식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적 알렉세이 나발니의 독살 시도를 다룬 '나발니'가 장편다큐멘터리상을 받은 데 이은 것으로,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 정서가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영상미가 뛰어난 '가여운 것들'은 의상상, 분장상, 미술상 등 관련 부문을 싹쓸이해 눈길을 끌었다.
10개 부문에 후보로 오른 '플라워 킬링 문'은 단 하나의 상도 못 받았다.
'오펜하이머'와 함께 개봉해 흥행을 이끌면서 '바벤하이머'라는 신조어를 낳기도 했던 '바비'는 주제가상 한 부문만 수상하는 데 그쳤다.
팝스타 빌리 아일리시와 그의 오빠 피니즈 오코널이 작곡한 삽입곡 '왓 워스 아이 메이드 포?'(What Was I Made For?)다.
이들 남매는 2022년에도 '007 노 타임 투 다이' 삽입곡으로 이 부문 상을 받은 바 있다.
올해 시상식에 한국 영화는 노미네이트되지 않았다.
한국 영화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2020년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비롯해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상까지 4관왕을 차지해 주목받았다.
이듬해 시상식에선 배우 윤여정이 한국계 정이삭 감독의 '미나리'로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이날 OCN과 tvN에서 아카데미 시상식 생중계해설을 맡은 이동진 영화평론가는 "파격과 예상이 골고루 균형 잡힌 시상이었다"고 평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