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보엠이씨 "해외 반도체 클린룸 배관 시장 공략"
입력
수정
지면A15
1차 배관 점유율 국내 1위“반도체 업황이 아직 불확실하지만 매출 감소에 대비해 공장 자동화에 공들이고 있습니다. 영업이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죠. 일본, 말레이시아 등 해외 시장도 적극 공략할 방침입니다.”
"日·말레이시아 등 영업 강화
공장 자동화로 이익률 높일 것"

불소수지 코팅덕트·모듈화 공법을 적용한 반도체 공장 신축, 개·보수 등으로 시공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특히 기술 진입장벽이 높은 국내 불소수지 코팅덕트 시장에선 60%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불소수지 코팅덕트는 스테인리스 스틸 내부를 특수 코팅해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배출되는 강산성·강알칼리성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 위험을 줄여준다. 2011년 미국 FAB Tech에서 이전받은 기술이다. 반도체, 화학 플랜트, 가스생산·정제시설 등 사용처 범위가 넓다. 친환경 특성에 재활용도 가능해 반도체 회사의 발주가 늘고 있다. 일본의 한 대형 전자회사에도 납품한다.
최근 4년간 실적은 우상향이다. 2020년 매출 6412억원, 영업이익 71억원에서 지난해 매출 8717억원(잠정치), 영업이익 375억원을 기록했다. 3년 만에 각각 35.9%, 428.2% 뛰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은 1.1%에서 4.3%로 높아졌다. 2022년에는 매출 1조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IR 담당자는 “음성 공장 등 자동화 장비를 이용해 실적이 개선되고 있다”며 “안정적인 사업 모델로 주주들과 열매를 함께 나누겠다는 게 회사의 기본 경영 방침”이라고 말했다. 세보엠이씨는 지난달 말 주당 배당금 550원(시가배당률 6.1%)을 공시했다. 김우영 대표는 지난해 9월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고배당·자사주 매입 검토를 언급한 바 있다.
윤현주 기자 hyunj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