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펜하이머 독무대…크리스토퍼 놀런이 휩쓴 오스카상 시상식

제 96회 아카데미상 시상식

13개 부문 후보 오펜하이머
핵무기 개발의 빛과 그림자
천재 과학자의 인간적 고뇌 담아
작품·감독·편집상 등 7관왕

'가여운 것들' 에마 스톤
라라랜드 이어 두 번째 '퀸'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이 10일(현지시간) 제96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영화 ‘오펜하이머’로 감독상 등 7관왕을 차지한 뒤 수상소감을 얘기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변은 없었다. 올해 오스카는 영화 ‘오펜하이머’의 독무대였다.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이 무관의 설움을 씻어내고 감독상을 거머쥐는 등 7관왕을 차지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돌비극장에서 열린 ‘제96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오펜하이머’는 작품상을 비롯해 감독·남우주연·남우조연·편집·음악·촬영감독상을 받았다. 총 23개 수상 부문 중 주요 트로피를 싹쓸이하며 지난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 이어 2년 연속 7관왕 기록을 세웠다.

7개상 ‘싹쓸이’…오펜하이머 잔칫상

예상된 결과였다. 당초 영화계에선 13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된 ‘오펜하이머’가 2004년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이후 20년째 미답인 11관왕 고지에 오를 수 있을지가 주요 관심사였기 때문이다. ‘오펜하이머’는 이날 초반 여우조연·각색상을 연달아 놓치고, 미술·분장·의상상도 ‘가여운 것들’에 내주며 고전했지만 후반부 주요 상을 휩쓸었다.

복잡한 플롯, 컬러와 흑백을 오가는 구성, 물리학을 시각화하는 방식 등 수준 높은 작품성과 상업적 성공이라는 영화의 특성이 아카데미 코드에 들어맞았다. 봉준호 감독이 “로컬 영화제”라는 뼈 있는 농담을 던진 것처럼, 아카데미는 미국·백인 위주의 보수적이고, 정치성 강한 시상식으로 유명하다. 이를 의식한 듯 최근 여성(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2023), 아시아(기생충·2019), 성소수자(문라이트·2017) 등에 문호를 개방했지만, 복잡한 국제 정세가 얽히고설킨 올해는 미국적 영웅서사를 가진 ‘오펜하이머’를 지나칠 수 없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요 상을 받은 배우들, 왼쪽부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남우조연상·오펜하이머), 조이 랜돌프(여우조연상·바튼 아카데미), 에마 스톤(여우주연상·가여운 것들), 킬리언 머피(남우주연상·오펜하이머). 로이터연합뉴스

놀런, 마침내 감독상 수상

올해 가장 눈길을 끈 지점은 단연 놀런의 감독상 수상이다. 놀런은 ‘인셉션’(2010), ‘인터스텔라’(2014) 등을 연출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감독으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지만, 유독 오스카상과 인연이 없었다. 2018년 ‘덩케르크’도 수상이 불발됐다. 놀런 감독은 “100년 역사의 아카데미와 놀라운 여정을 함께해 감사하다”고 말했다.

남우주연상은 오펜하이머를 연기한 아일랜드 출신 배우 킬리언 머피가 받았다. 천재성을 가진 과학자의 인간적 고뇌를 스크린에 사실적으로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은 그는 “지난 20년 통틀어 가장 만족스러운 작품이었다”고 밝혔다. 오펜하이머와 대립하는 루이스 스트로스 역할을 맡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도 남우조연상을 받았다.에마 스톤은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가여운 것들’로 생애 두 번째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네 번째 연기 호흡을 맞추며 란티모스의 ‘뮤즈’로 자리매김했다.

일본 영화·애니 반짝 선전

셀린 송 감독의 ‘패스트 라이브즈’는 작품상과 각본상에 이름을 올렸지만 아쉽게도 ‘오펜하이머’와 ‘추락의 해부’에 밀려 수상하지 못했다.

일본 영화는 적잖은 성과를 냈다. 은퇴를 번복하고 돌아온 미야자키 하야오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가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받았다. 고질라 탄생 70주년을 기념한 ‘고질라 마이너스 원’은 시각효과상을 받았다. 야마자키 다카시 감독은 “할리우드 멀리서 일하다 오스카 무대에 섰다. 우리가 상을 탄 건 모두에게 기회가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유승목 기자 moki912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