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길었던 영화 '파묘' 속 문신의 역사 [김동욱의 역사책 읽기]
입력
수정
오랫동안 문신은 한국 사회에서 터부시되는 행위였다.
몇십 년 전만 해도 ‘조폭’이나 하는 짓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병역의무를 면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거론되던 ‘특이한 행동’으로 치부됐다. 문신을 하는 것은 곱지 않은 사회의 시선을 감내해야 하는 행위이기도 했다.하지만 과연 예전부터 문신은 한국에서 보기 드물었던 것일까?
의외로 한국 사회 초기 모습을 담은 기록에 ‘문신’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한다. 고대 중국의 역사서들은 한반도 남부 지역의 모습을 그릴 때 문신에 관한 기술을 반복적으로 남겼다.
<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東夷列傳)과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에는 조금씩 표현을 달리해가며 한반도의 문신문화를 전한다.기록들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그 고장 남자들은 간혹 문신(文身)을 한 사람도 있다.(其男子時時有文身)”(<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중 한(韓) 관련 부분)
“왜(倭)와 가까운 지역이므로 남녀(男女)가 문신(文身)을 하기도 한다.(男女近倭, 亦文身)”(<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중 진한(辰韓) 관련 부분)“마한(馬韓)의 남쪽 경계는 왜(倭)에 가까우므로 문신(文身)한 사람도 있다.(其南界近倭, 亦有文身者)”(<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東夷列傳) 중 한(韓) 관련 부분)
“변진은 왜국(倭國)과의 거리가 가까우므로 문신(文身)한 사람이 상당히 있다.(國近倭, 故頗有文身者)”(<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東夷列傳) 중 한(韓) 관련 부분)
특히 중국의 관찰자들은 문신 습속을 왜(倭)와 관련이 높다고 단언했다. 문신 풍습은 왜를 상징하는 문화이기도 했기 때문이다.실제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왜인전(倭人傳)에는 문신에 관한 내용이 좀 더 자세하게 나온다.
왜인전(倭人傳)에는 “남자는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모두 얼굴과 몸에 문신을 한다(男子無大小皆黥面文身)”고 못 박았다.
왜인들 사이에서 문신이 널리 퍼진 이유도 상세히 남겼다. “지금, 왜의 어로족들은 잠수를 해서 해산물을 잡는 것을 좋아한다. 몸에 문신을 해 큰 물고기와 물새가 (겁을 먹고 싫어해) 피하도록 한다(今倭水人好沈沒捕漁蛤 文身亦以厭大魚水禽)”라는 것.
또 “그 후 (문신은) 점차 장식이 된다. 국가마다 문신은 다르고, 왼쪽에 있거나 오른쪽에 있거나, 크거나 작은 것에 따라 (신분의) 존경에 차이가 있다(後稍以爲節諸國文身各異 或左或右 或大或小 尊卑有差)”라고 부연했다. 왜에선 문신을 가지고 지위의 높고 낮음을 구별할 정도로 문신이 일반화됐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삼한 시대 한국 사회상을 그리는 데 자주 등장하던 문신에 대한 언급은 삼국시대에 접어들면서 찾아볼 수 없게 된다.
고려 시대 송나라 사신이 쓴 <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고려의 풍속에 단발문신이 있었는데 일찍이 기자의 교화로 그런 풍속이 없어졌다”며 고려 시대에는 이미 문신의 풍속이 없어졌다고 전한다.
하지만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일언반구 찾아볼 수 없었던 문신에 대한 언급은 <고려사(高麗史)>에서 다시 등장한다. 이번의 경우엔 문신이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 형벌의 일종으로 소개되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
“도둑질을 범하고 (유배되었는데) 유배된 곳(配所)에서 도망친 자는 형(刑)을 집행하고 얼굴에 문신을 새겨(鈒面) 멀리 떨어진 육지의 주현(州縣)으로 유배한다.(犯盜, 配所逃亡者, 刑決鈒面, 配遠陸州縣)”(<고려사(高麗史)> 권85 형법지(刑法志) 도적(盜賊) 중에서)
즉, 유배자가 도주했을 경우, 가중처벌의 수단으로 문신이 등장하는 것인데 이는 송나라의 <송회요(宋會要)> 등에 나오는 경면, 자면 같은 문신형을 수용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한다.
문신형의 처벌은 조선 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지게 된다.
“사형에 처하지 않은 강도는 법조문대로 처결한 뒤 몸에 강도라는 두 글자를 먹물로 새겨 넣으며 두 번 범하면 교형에 처한다”(<경국대전(經國大典)>)라는 규정을 마련한 것이다.
몸을 훼손하지 않는 것을 효의 시작으로 여겼던 조선 시대에 일종의 저주이자 천형인 중형이었던 문신형의 존재는 이후 한국 사회에서 문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뿌리내리게 한 근원적 이유로 평가된다. 불효자에 사악한 범죄자의 표상이 문신에 덧씌워진 것이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영화 ‘파묘’에서 등장인물들이 귀신을 쫓기 위해 얼굴에 문신한 것을 두고 일부 중국 네티즌들이 “우스꽝스럽다”며 조롱 섞인 후기를 남겨 한·중 네티즌 간 감정싸움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중국에선 얼굴에 글을 쓰거나 새기는 행위를 매우 모욕적이고 굴욕적인 행위로 여기고 있다”며 “한국인들이 얼굴에 모르는 한자를 쓴다는 게 참 우스꽝스럽다”는 게 중국 네티즌의 주장이라고.오락물인 영화는 영화일 뿐 과도하게 시비를 논하는 것은 적절치 않아 보인다. 다만 한국 역사 속에서 문신이 아주 낯선 존재는 아니었다는 점에서 문신의 초기사를 잠시 정리해 봤다.
김동욱 오피니언부장 kimdw@hankyung.com
몇십 년 전만 해도 ‘조폭’이나 하는 짓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병역의무를 면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거론되던 ‘특이한 행동’으로 치부됐다. 문신을 하는 것은 곱지 않은 사회의 시선을 감내해야 하는 행위이기도 했다.하지만 과연 예전부터 문신은 한국에서 보기 드물었던 것일까?
의외로 한국 사회 초기 모습을 담은 기록에 ‘문신’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한다. 고대 중국의 역사서들은 한반도 남부 지역의 모습을 그릴 때 문신에 관한 기술을 반복적으로 남겼다.
<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東夷列傳)과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에는 조금씩 표현을 달리해가며 한반도의 문신문화를 전한다.기록들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그 고장 남자들은 간혹 문신(文身)을 한 사람도 있다.(其男子時時有文身)”(<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중 한(韓) 관련 부분)
“왜(倭)와 가까운 지역이므로 남녀(男女)가 문신(文身)을 하기도 한다.(男女近倭, 亦文身)”(<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중 진한(辰韓) 관련 부분)“마한(馬韓)의 남쪽 경계는 왜(倭)에 가까우므로 문신(文身)한 사람도 있다.(其南界近倭, 亦有文身者)”(<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東夷列傳) 중 한(韓) 관련 부분)
“변진은 왜국(倭國)과의 거리가 가까우므로 문신(文身)한 사람이 상당히 있다.(國近倭, 故頗有文身者)”(<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東夷列傳) 중 한(韓) 관련 부분)
특히 중국의 관찰자들은 문신 습속을 왜(倭)와 관련이 높다고 단언했다. 문신 풍습은 왜를 상징하는 문화이기도 했기 때문이다.실제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왜인전(倭人傳)에는 문신에 관한 내용이 좀 더 자세하게 나온다.
왜인전(倭人傳)에는 “남자는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모두 얼굴과 몸에 문신을 한다(男子無大小皆黥面文身)”고 못 박았다.
왜인들 사이에서 문신이 널리 퍼진 이유도 상세히 남겼다. “지금, 왜의 어로족들은 잠수를 해서 해산물을 잡는 것을 좋아한다. 몸에 문신을 해 큰 물고기와 물새가 (겁을 먹고 싫어해) 피하도록 한다(今倭水人好沈沒捕漁蛤 文身亦以厭大魚水禽)”라는 것.
또 “그 후 (문신은) 점차 장식이 된다. 국가마다 문신은 다르고, 왼쪽에 있거나 오른쪽에 있거나, 크거나 작은 것에 따라 (신분의) 존경에 차이가 있다(後稍以爲節諸國文身各異 或左或右 或大或小 尊卑有差)”라고 부연했다. 왜에선 문신을 가지고 지위의 높고 낮음을 구별할 정도로 문신이 일반화됐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삼한 시대 한국 사회상을 그리는 데 자주 등장하던 문신에 대한 언급은 삼국시대에 접어들면서 찾아볼 수 없게 된다.
고려 시대 송나라 사신이 쓴 <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고려의 풍속에 단발문신이 있었는데 일찍이 기자의 교화로 그런 풍속이 없어졌다”며 고려 시대에는 이미 문신의 풍속이 없어졌다고 전한다.
하지만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일언반구 찾아볼 수 없었던 문신에 대한 언급은 <고려사(高麗史)>에서 다시 등장한다. 이번의 경우엔 문신이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 형벌의 일종으로 소개되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
“도둑질을 범하고 (유배되었는데) 유배된 곳(配所)에서 도망친 자는 형(刑)을 집행하고 얼굴에 문신을 새겨(鈒面) 멀리 떨어진 육지의 주현(州縣)으로 유배한다.(犯盜, 配所逃亡者, 刑決鈒面, 配遠陸州縣)”(<고려사(高麗史)> 권85 형법지(刑法志) 도적(盜賊) 중에서)
즉, 유배자가 도주했을 경우, 가중처벌의 수단으로 문신이 등장하는 것인데 이는 송나라의 <송회요(宋會要)> 등에 나오는 경면, 자면 같은 문신형을 수용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한다.
문신형의 처벌은 조선 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지게 된다.
“사형에 처하지 않은 강도는 법조문대로 처결한 뒤 몸에 강도라는 두 글자를 먹물로 새겨 넣으며 두 번 범하면 교형에 처한다”(<경국대전(經國大典)>)라는 규정을 마련한 것이다.
몸을 훼손하지 않는 것을 효의 시작으로 여겼던 조선 시대에 일종의 저주이자 천형인 중형이었던 문신형의 존재는 이후 한국 사회에서 문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뿌리내리게 한 근원적 이유로 평가된다. 불효자에 사악한 범죄자의 표상이 문신에 덧씌워진 것이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영화 ‘파묘’에서 등장인물들이 귀신을 쫓기 위해 얼굴에 문신한 것을 두고 일부 중국 네티즌들이 “우스꽝스럽다”며 조롱 섞인 후기를 남겨 한·중 네티즌 간 감정싸움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중국에선 얼굴에 글을 쓰거나 새기는 행위를 매우 모욕적이고 굴욕적인 행위로 여기고 있다”며 “한국인들이 얼굴에 모르는 한자를 쓴다는 게 참 우스꽝스럽다”는 게 중국 네티즌의 주장이라고.오락물인 영화는 영화일 뿐 과도하게 시비를 논하는 것은 적절치 않아 보인다. 다만 한국 역사 속에서 문신이 아주 낯선 존재는 아니었다는 점에서 문신의 초기사를 잠시 정리해 봤다.
김동욱 오피니언부장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