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자리 13% AI가 대체" 폭탄 전망…가장 위험한 직업은
입력
수정
산업硏 보고서인공지능(AI)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현재 한국 일자리의 13%(327만개)가 AI로 대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AI가 대체가능한 일자리의 60%(196만개)는 전문가 직종에 집중될 것이란 전망이다.
사라질 일자리 60%가 전문직"
현재 일자리 중 13%가 소멸 위험
산업연구원은 13일 ‘AI 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산업연구원은 2022년 기준 국내 기업의 AI 도입률은 4% 수준에 불과하지만 챗GPT 등 생성형 AI 등의 성능 향상 속도를 고려할 때 AI 시대가 빠르게 열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산업연구원 분석 결과 AI로 인해 국내 전체 일자리의 13.1%인 327만개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았다. 산업별로는 제조업(93만개), 건설업(51만개),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6만개), 정보통신업(41만개) 등의 순으로 AI가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가 많았다.
특히 AI 대체 가능 일자리의 59.9%인 196만개가 전문가 직종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공학 전문가 및 정보통신 전문가의 비중이 높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5만개)과 정보통신업(38만개)뿐만 아니라 건설업(43만개), 제조업(37만개) 내에서도 전문직 일자리의 대체 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됐다. 금융업의 경우 일자리 소멸 위험군의 99.1%가 경영·금융전문가 직종에 몰려 있었다.송단비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AI의 노동 대체 양상은 과거 로봇이 생산직 일자리를 대체한 것과 매우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며 “AI가 이미 석·박사급 개발인력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노동수요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보고서는 고급 AI 인력 양상이 필요하다고도 지적했다. 미국은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 등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민간 투자가 AI 혁신을 주도하고 있고, 중국은 국가가 주도해 AI 연구개발 성과를 올리고 있다. 반면 한국은 민간 부문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열세하다는 판단이다.
민순홍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고숙련 AI 인력양성을 위해 지금의 학제 운영 체계를 정비하고 해외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정책지원을 강화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