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베를린필' 아이디어, 30년차 첼리스트가 사이먼 래틀도 설득했다
입력
수정
베를린필 디지털 콘서트홀 아이디어 낸"당시에는 완전히 불가능했죠. 단원들 모두가 말도 안된다고 했어요. "
첼리스트 올라프 마이닝어 인터뷰
베를린필 미디어 총괄 책임자 올라프 마이닝어(사진·60)는 18년 전을 회상하며 이렇게 말했다. 1995년 첼로 단원으로 입사해 이듬해 베를린필 수석 첼리스트가 된 마이닝어는 디지털 콘서트홀(DCH) 설립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한 인물. 30년째 이곳에서 단원이자 매니저로 몸 담아 온 그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당시 인터넷이 급격히 부상하고, CD 시장이 빠르게 줄어드는 변화가 있었다"며 "공연의 디지털화가 오케스트라와 클래식 음악이 계속 연주될 수 있는 확실한 해결책이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지금이야 스트리밍 서비스가 보편적이지만, 당시에는 스마트폰도 나오기 전이었고, 클래식 콘서트를 생중계로 본다는 개념도 흔하지 않을 때였다. 단원들의 초기 반응은 당연히 냉담했다. 라이브 연주를 남기는 것 자체를 불편해 하는 의견도 상당했다. "'빅 브라더'가 연주를 감시하는 것 같아 음악에 몰입이 어렵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그럼에도 그는 1년 간 "비현실적이지 않다. 클래식 음악이 지속될 방법"이라고 단원들을 설득했고, 아이디어를 계속해서 구체화했다. 1년 가까운 그의 설득에 결국 당시 상임지휘자였던 사이먼 래틀을 비롯해 단원 모두가 디지털화에 몰두하게 됐다는 것.
"여러 고민이 있었어요. 촬영이나 녹음이 연주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하고, 퀄리티는 좋아야 했으니까요. 시작부터 음질은 CD퀄리티, 화질도 HD를 원했거든요. 가장 중요한 건 퀄리티였고, 퀄리티와 타협할 생각은 결코 없었어요. 그래서 3년이라는 준비 기간이 필요했죠." 그는 인터뷰 내내 '퀄리티'를 강조했다. DCH를 만들고 운영하며 클래식 음악의 존속과 세계화를 추구하지만,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최고의 품질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베를린필 미디어는 빠르게 무언가를 내놓으려고 하기보다는 더 좋은 품질로 만들기 위해 기다리고 준비하는 과정을 거듭했다.
"혁신 사례로 언급되지만 혁신보다 품질을 더 강조하고 싶었습니다. 연주를 할 때도 왜, 누구를 위해, 무엇을 연주할지 고민하고, 최고의 퀄리티로 최선을 다할 때 관객의 마음에 닿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어요. 디지털 작업도 그와 비슷하게 생각했어요."
DCH가 생기고 가장 큰 변화는 전에 없던 글로벌 청중이 생겼다는 점이다. 이들은 세상을 떠난 옛 지휘자들의 연주 영상을 복원하고, 매번 연주 때마다 콘서트 기록을 남겼다. 이들이 15년간 쌓은 연주 영상은 780여 개, 영상에서 다룬 클래식 작품만해도 1700여 개의 레퍼토리다. 아티스트 인터뷰를 비롯해 비하인드 스토리를 다룬 필름도 제작하며 그야말로 '전세계 베를린필 팬 모으기'를 하고 있다."오직 한 악단만을 위한 한 채널이라는 점이에요. 유튜브나 애플뮤직 같은 대형 스트리밍 서비스와 가장 다른 점이죠. 물론 그들이 하는 것도 당연히 멋진 일이지만 저희처럼 명확하고 쉽지는 않죠. "
이들이 15년간 DCH를 운영해오면서 다른 음악단체에서도 문의가 쏟아졌다. 그럼에도 베를린필 미디어는 "사업을 다른 쪽으로 확장하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다른 단체에 도움을 주고 대가를 받으며 수익을 얻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는 취지다. 마이닝어 역시 같은 이야기를 했다. 그는 "우리는 상업 회사의 세계에 있는 회사가 아니라 재단(오케스트라)을 위한 회사"라며 "우리가 집중하는 목표는 우리의 음악을 최고 품질로 전 세계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뿐"이라고 강조했다.
베를린필은 어느 악단보다도 앞장서서 '클래식 전도사' 역할을 해왔다. 다양한 사업과 프로젝트를 통해 클래식 음악을 알리고, 이어가기 위한 이들의 노력은 절박할 수준으로 '진심'이다. 20년 넘도록 가정, 학교, 보육원 등에서 음악 교육 사업을 해왔고, 서포터 그룹을 만들어 강연과 토론을 열기도 했다. 이제는 이 모든 걸 온라인을 통해 전세계로 확장하겠다는게 이들의 계획이다. "안타깝게도 독일을 비롯한 유럽에서 음악 수업의 존재감은 갈수록 약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유럽의 클래식 시장은 젊은이들을 잃어가고 있어요. 마스터클래스 등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만들어 만들어 전세계 젊은층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가려고 합니다. 클래식 음악을 이 사회에 유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목표라고 할 수 있죠."
베를린=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