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노인주거, '세대공존형'은 어떨까? [심형석의 부동산정석]
입력
수정
한경닷컴 더 머니이스트통계청에 의하면 노인가구수가 총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6%에 이릅니다. 반면 노인전용주택은 9000가구이며 노인에 적합한 시설 기준을 적용해 건설된 주택 역시 2만가구 수준입니다. 이는 총 노인가구의 0.4%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노인의 주거편익 향상에 적극 나서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노인전용주거상품 보다는 세대공존형(age mix) 필요해
일본 ‘시바우라 아일랜드’ , ‘도요시키다이’ 대표적
강동 ·은평구에 '골든 빌리지' 계획
하지만 실태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5.1%만이 노인전용주택에 거주하기를 희망합니다. 비중이 많지 않기에 노인전용주택이 턱없이 부족하지만 큰 문제없이 노인들의 주거가 유지되는 듯합니다.사실 노인들도 노인전용주택에 들어가는 것을 썩 달가워하지 않습니다. 은퇴(예정)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보더라도 도심에 젊은이들과 함께 지내기를 원하지 노인들만 있는 시설에는 들어가기 싫어합니다. 특히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로 명명되는 베이비부머들은 여전히 현역인 것처럼 행동합니다.
나이가 더 들고 거동이 불편해 노인전용주택에 거주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은 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조사를 해보면 대부분의 노인분들은 집에서 임종을 맞이하기를 원합니다. 노후에 재택의료를 통해 편안하고 존엄한 죽음을 맞이하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많은 분들이 병원에서 죽음을 맞이합니다. 비용도 많이 들지만 편안하지도 않습니다. 고령화 선배국가인 일본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는데 심지어 ‘임종난민’이라는 말도 생기고 있습니다. 노인인구는 급격히 늘어나는데 미래의 노인주거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조심스럽지만 세대 공존형(age mix) 노인주거시설이 필요할 듯합니다. 노인들을 위한 전용주택은 꼭 있어야 하지만 노인들만 거주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젊은 층과 중장년층도 노인주거시설의 한 축으로 포함해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나라는 아직도 과거의 성과 없는 소셜 믹스(social mix)라는 이념의 틀에 갇혀 있지만 선진 외국은 이미 세대 공존형(age mix)이라는 주거시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2세대 이상이 함께 거주하는 ‘세대통합형 주택’이란 개념은 우리나라에도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하나의 주택에서 세대가 공존한다는 생각은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젊은 층은 당연히 싫어할 것이며 노인계층 또한 같은 공간에서 다른 세대와 거주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특히 전통적인 가족 기능이 약화되고 핵가족화로 세대분화가 가속되고 있어 세대통합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세대통합 가구가 급격히 줄어드는데 ‘세대통합형 주택’을 공급한다는 것은 큰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반면 별개의 주택에 거주하면서 서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세대 공존형 주거시설에 대한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령층과 젊은 세대가 이웃해 거주하는 ‘세대 공존형 주거’의 원조는 일본입니다. 고령화 선배국가인 일본에서는 노인전용주택과 일반 아파트를 함께 지어 세대 간 교류를 촉진하는 세대 공존형 주거단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시바우라 아일랜드’와 ‘도요시키다이’ 단지가 대표적입니다. 특히 UR의 ‘도요시키다이’ 단지는 저층아파트를 고층으로 재건축한 단지로 의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시에서 세대 공존형 주거시설 ‘골든빌리지’를 계획 중입니다. 강동구와 은평구에 건설되는 주거, 의료, 편의시설이 갖춰진 공공형 주택으로 부모세대와 자녀가 교류하며 안정적인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조성 중입니다.‘세대 공존형 주거’는 향후 가장 전망 있는 부동산상품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기본적으로는 수요의 확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물론 젊은 세대와 노인세대는 서로의 필요에 의해 근거리에 거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케어와 돌봄이 하나로 합쳐지면 편리하기도 하지만 국가차원에서도 의료비와 육아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세대 공존형 주거시설’로는 도심의 주상복합 아파트를 들 수 있습니다. 편의시설을 충분히 누릴 수 있는 주상복합 아파트는 도심에 머물고 싶어하는 노인세대에게도 매력적입니다. 특히 입주민만 출입할 수 있도록 진화하는 최근의 주상복합 아파트는 안전에 대한 욕구가 큰 노인세대를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아파트와 붙어있는 상업시설은 먼 거리 이동이 불편한 노인세대에게는 더 매력적입니다.
노인주간보호시설과 아동을 위한 유치원을 결합시키는 모델도 나오고 있습니다. 일본 도쿄의 에도가와구에 위치한 ‘고토엔’이 대표적입니다. 일본이 직면하고 있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 문제와 맞벌이 부부로 인한 보육수요 증가를 동시에 해결하고 있습니다. 취학 전 아동 100명과 65세 이상 시니어 100명이 함께 하고 있습니다.
백화점의 팝업스토어도 세대 공존형 부동산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래된 이미지를 가진 백화점에 젊은이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팝업 성지로 알려진 더현대서울은 팝업전용 공간인 ‘에픽서울’을 조성했습니다. 신세계와 롯데백화점 또한 이 대열에 동참하면서 트렌드화되고 있습니다. 백화점 입점 전문 공식 벤더사들도 적극적이며 관련 벤처기업도 생기는 중입니다.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시장조사의 기회를 다양한 고객들과 직접 소통하면서 파악할 수 있어 긍정적입니다. ‘세대 공존형 부동산’ 비단 주거시설에만 그치지는 않을 듯합니다.<한경닷컴 The Moneyist>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IAU 교수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