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5'의대 중 3곳 사직 결의…의대교수 집단사직 현실화하나
입력
수정
오늘 19개 의대, 뜻 모으기로
교수들, 전공의 떠난 '의료 공백' 메워 와

서울대·가톨릭대·울산대 교수들 '사직 결의'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각 의대 교수협에서 집단으로 사직서 제출을 결의한 건 서울대와 가톨릭대, 울산대 등 3곳이다. 모두 '빅5'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두고 있다. 의대 3곳 교수들 모두 사직서 제출을 실행에 옮기지는 않았으나 전공의들이 면허정지 등으로 피해를 볼 경우 언제든 행동에 옮길 수 있다는 입장이다.현재 정부는 의대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사전 통지를 하는 등 관련 절차를 진행 중이다.나머지 '빅5' 병원인 세브란스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을 각각 수련병원으로 둔 연세대와 성균관대 의대 교수들도 집단행동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연세의대 교수 비대위는 오는 18일 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결정한다. 성균관의대 교수협은 이번 주 안에 비대위를 출범해 다른 대학과 협력을 강화한다.
전국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비대위에 참여한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 여부에 대한 논의를 이날까지 마치기로 했다. 이날 오후 늦게 온라인 회의를 열어 각 의대 교수가 그간 논의한 내용과 처한 상황을 공유할 예정이다. 전국 의대 교수 비대위는 지난 12일 출범 당시 의대 19곳이 참여했으나, 이날 회의에 참여하는 의대 숫자는 변동될 수도 있다고 내부 관계자가 전했다.이들은 의대생과 전공의가 무사히 복귀해 각각 교육과 수련을 마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고 밝혔다. 이들과는 별개인 전국의대교수협의회도 대학별 상황을 공유하며 사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교수들 당장 떠날 가능성은 적어
전공의들이 지난달 19일 사직서를 제출하고 병원을 떠난 후 교수들과 전임의들은 이들의 공백을 메워왔다. 비상진료체계 가동을 위해 이들은 외래 진료와 수술, 야간 당직을 모두 도맡아왔다.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