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틴·임영웅·아이유…'상암벌'이 열렸다 [연계소문]
입력
수정
[김수영의 연계소문]서울월드컵경기장이 K팝 공연에 문을 열었다.
연(예)계 소문과 이슈 집중 분석
K팝 공연 개최 늘린 서울월드컵경기장
대형 공연장 부재 속 개방 필요성 높아져
4만명 이상 운집 가능 '업계 기대'
공연-스포츠계 상생 중요성 대두
엔터사들 "잔디 훼손 줄이기 위해 노력"
현재까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개최되는 것으로 알려진 K팝 공연은 총 3건이다. 내달 27~28일 세븐틴을 시작으로 5월 25~26일 임영웅, 9월 21~22일 아이유가 콘서트를 연다.6만6000석 규모를 자랑하는 이곳은 대중가수들에게 '꿈의 무대'로 불리는 곳이다. 콘서트 무대를 설치하면 객석은 4만석 이상이 될 전망이다. 올림픽주경기장에 맞먹는 수준으로, 현재 주경기장이 리모델링에 들어갔기 때문에 서울에서 가장 큰 규모로 공연을 열 수 있는 장소가 바로 서울월드컵경기장이다.
이곳에서 드림 콘서트, SM타운 콘서트 등 대형 행사가 진행된 바 있고, 단독 콘서트를 개최한 가수로는 서태지, 싸이, 빅뱅, 지드래곤까지 손에 꼽을 정도다.
4만명 이상을 모객해야 한다는 부담도 있지만 그보다는 '잔디 관리'가 대관을 최소화한 주된 이유로 거론돼 왔다. 주경기장을 꽉 채우는 방탄소년단도 '상암벌'에는 입성하지 못했던 바다. 지난해 세계스카우트잼버리 K팝 콘서트가 열렸을 때도 잔디가 훼손된다는 우려와 함께 축구 팬들의 반발이 거셌다.서울월드컵경기장의 대관 허가 기준을 보면 1순위는 국가대표팀이 출전하는 경기 및 FC서울의 경기다. 이어 2순위가 아시아 경기대회 결승, 외국 유명 팀 초청 경기, 공공행사다. 문화예술행사는 제일 마지막인 3순위에 든다.
하지만 대형 공연장의 부재와 함께 가요계가 극심한 대관난에 빠지면서 결국 서울월드컵경기장도 K팝에 문을 열게 됐다. 최대 5만명의 관객을 동원할 수 있는 주경기장이 리모델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고, 2만명이 들어갈 수 있는 고척돔까지 메이저리그 월드투어 서울 시리즈 맞이로 막히면서 공연할 수 있는 장소가 극히 제한됐기 때문이다. 이에 1만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KSPO DOME(올림픽체조경기장)은 그야말로 포화가 됐다. 회차를 늘려 2주간 공연하는 방식이 정착하면서다.
세계적 팝스타들이 공연장이 없어 한국에 못 온다는 말까지 나오면서 '한국 패싱' 논란이 일기도 했다.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K팝의 영향력이 커지고, 팝스타들과 협업하는 일도 늘고 있지만 정작 국내 인프라가 산업의 성장세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한 공연 관계자는 "대형 공연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에는 대부분 이견이 없다"면서도 "다만 새로 짓는 건 시간도 많이 들고, 짓는다고 하더라도 돔(5만석), 스타디움(7만명) 급이라면 실제로 해당 규모의 공연이 자주 열릴 것인지 가용성 측면에서는 물음표가 남는다"고 생각을 밝혔다.해외에서는 축구 경기 외에 행사가 진행될 때는 잔디를 경기장 지하로 내리는 관리 시스템을 쓰기도 한다. 잔디가 훼손되는 걸 원천 차단해 최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2021년 10억을 들여 하이브리드 잔디를 깐 서울월드컵경기장 역시 잔디 관리에 공을 들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지난해 말에는 경기장에 설치된 IoT센서로 잔디의 온도, 수분 함량, 비료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기도 했다. 하지만 외부 요인으로 인한 훼손까지 막을 방법은 아직 없다.결국 강조되는 건 공연계와 스포츠계의 '상생'이다. 실제로 잔디 구장에서 공연한 적 있는 아티스트의 소속사들은 그라운드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경 쓰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무대를 설치하고 철거하는 과정 내내 경기장 측 관리가 촘촘하게 이루어진다고 전했다. "준비하면서 서로 얼굴을 붉힐 때도 있다. 결국 대관을 진행하는 쪽이 절대 우위라 따라야 한다"고 말할 정도였다.
또 공연 예산에 적지 않은 '잔디 복구비'를 편성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는 실내 공연에는 들어가지 않는 비용이다. 여기에 전문 공연장이 아니기에 음향을 보강하거나 넓은 공간에서 관객들이 시각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크고 다채로운 무대 세트와 특수효과 등이 더해진다.
한 기획사 관계자는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앞서 잔디 관련 이슈가 있었기 때문에 더 신경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 공연 회의에서도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전 사례들을 검토하면서 추가 방안을 강구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