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누르자…기업 대출 '급증'
입력
수정
지난해 기업 부문 고정이하여신 비율 일제히 상승기업 대출이 눈에 띄게 커지고 있다. 경기 불황에 대출 원리금을 갚지 못하는 회사들이 급증하면서다. 정부가 가계대출을 억제하자 시중은행들이 기업 대출 영업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건전성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있단 지적이다.
17일 연합뉴스가 국민·하나·우리은행 등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시중은행 3곳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 대출 중 부실채권(NPL)이 대폭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의 기업 대출 중 고정이하여신(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채권) 비율은 2022년 말 0.26%에서 지난해 말 0.42%로 0.16%포인트(p) 상승했다. 하나은행 역시 기업 부문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0.24%에서 0.29%로 올랐다. 우리은행의 경우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0.23%로 유지됐다. 신한은행은 오는 18일, 농협은행은 29일 차례로 사업보고서를 공시하는데, 기업 대출 부실이 점차 확대되는 흐름은 비슷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흐름은 가계대출과 비교해도 두드러진다. 지난해 말 국민·하나·우리은행의 기업 대출은 총 587조9772억원으로 이 중 고정이하여신이 1조8593억원(0.32%)이었다. 가계대출 총액 432조1484억원 가운데 고정이하여신이 7399억원(0.17%)으로 집계된 것보다 두 배 가까이 비율이 높았다.기업 대출 건전성 악화는 최근 은행권 기업 대출이 가계대출보다 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 기업 대출은 2022년 말 1170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1247조7000억원으로 6.6%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이 1058조1000억원에서 1095조원으로 3.5% 늘어난 데 비해 증가율이 높았다.
5대 은행으로 범위를 좁히면 지난해 기업 대출이 832조6000억원에서 888조2000억원으로 6.7% 느는 동안 가계대출은 694조7000억원에서 694조4000억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부가 가계대출을 강하게 억제하니 주요 은행들이 그 대신 기업 대출을 늘려 이자 이익을 유지하려 한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따라 일종의 풍선효과가 나타나는 셈"이라고 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