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 해외 에너지 안정적 생산 단계…濠 GLNG 사업 투자비용 회수
입력
수정
지면C2
한국가스공사는 국내 천연가스 수급 안정성을 확보하고 국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현재 12개국에서 23개 해외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10여년 전에 투자한 호주 GLNG 사업이 안정적인 생산단계에 진입하면서 성과를 내고 있다.
해외자원개발은 통상 마라톤에 비유된다. 불확실성이 크고 투자비를 회수할 때까지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탐사부터 개발까지 약 10년이 걸리고 , 생산이 시작된 후 투자비를 전액 회수하는 데까지 10~15년 정도가 소요된다.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LNG 공급원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 가스공사는 비전통 가스전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 2011년 호주 GLNG 프로젝트 지분 15%를 매입했다. GLNG 프로젝트는 호주 글래드스톤에서 천연가스를 액화해 LNG를 수출하는 사업이다. 가스공사는 사업 진출 4년 만인 2015년 첫 LNG 생산에 성공했다. GLNG 프로젝트는 그간 중동에 치우쳐 있던 가스공사의 LNG 수입선을 다변화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6년부터는 생산되는 LNG의 절반가량인 약 300만 톤을 매년 국내로 들여오면서 에너지 안보에도 기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가스공사는 GLNG 사업 개시 이래 역대 최고인 3억 달러의 투자비를 회수했다.
이런 성과는 2022년 초 발발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호주 에너지 정책이 바뀌면서 시작됐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LNG 가격이 급등하자 호주 정부는 자국 에너지 안보를 위해 LNG 수출 제한 정책을 펼쳤다. 이에 따라 가스공사는 국내 도입 물량이 감소하고 GLNG 사업 투자비를 회수하는 데 애로를 겪었다. 가스공사는 계절에 따라 다른 가스 수요와 가격 차이를 활용한 해법을 찾았다. 호주의 동절기인 4~10월에는 LNG 수출물량을 감소시키고, 호주 내수시장에 가스 판매를 늘려 수익률을 높였다. 반대로 호주의 하절기인 11~3월에는 동절기를 겪는 북반구로 LNG 수출물량을 늘려 3600만 달러의 시세 차익을 확보했다.
가스공사의 해외자원개발 사업 진행이 처음부터 순조로웠던 것은 아니다. 호주 GLNG 사업은 3년간 지속된 홍수로 인해 종합 준공이 늦어지면서 생산 일정이 지연됐다. 특히 2010년대 저유가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수익과 자산가치가 감소하자 부실 투자라는 비판 여론이 일기도 했다.전문가들은 에너지 대부분을 수입하는 한국은 장기적 안목에서 해외 자원 개발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스공사는 호주 GLNG 사업 등이 본격적인 생산단계로 돌입하면서 향후 7~8년 내에 투자비를 전액 회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투자비 회수액의 일부를 전략적으로 신규사업에 재투자할 계획”이라며 “해외사업으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해외자원개발은 통상 마라톤에 비유된다. 불확실성이 크고 투자비를 회수할 때까지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탐사부터 개발까지 약 10년이 걸리고 , 생산이 시작된 후 투자비를 전액 회수하는 데까지 10~15년 정도가 소요된다.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LNG 공급원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 가스공사는 비전통 가스전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 2011년 호주 GLNG 프로젝트 지분 15%를 매입했다. GLNG 프로젝트는 호주 글래드스톤에서 천연가스를 액화해 LNG를 수출하는 사업이다. 가스공사는 사업 진출 4년 만인 2015년 첫 LNG 생산에 성공했다. GLNG 프로젝트는 그간 중동에 치우쳐 있던 가스공사의 LNG 수입선을 다변화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6년부터는 생산되는 LNG의 절반가량인 약 300만 톤을 매년 국내로 들여오면서 에너지 안보에도 기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가스공사는 GLNG 사업 개시 이래 역대 최고인 3억 달러의 투자비를 회수했다.
이런 성과는 2022년 초 발발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호주 에너지 정책이 바뀌면서 시작됐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LNG 가격이 급등하자 호주 정부는 자국 에너지 안보를 위해 LNG 수출 제한 정책을 펼쳤다. 이에 따라 가스공사는 국내 도입 물량이 감소하고 GLNG 사업 투자비를 회수하는 데 애로를 겪었다. 가스공사는 계절에 따라 다른 가스 수요와 가격 차이를 활용한 해법을 찾았다. 호주의 동절기인 4~10월에는 LNG 수출물량을 감소시키고, 호주 내수시장에 가스 판매를 늘려 수익률을 높였다. 반대로 호주의 하절기인 11~3월에는 동절기를 겪는 북반구로 LNG 수출물량을 늘려 3600만 달러의 시세 차익을 확보했다.
가스공사의 해외자원개발 사업 진행이 처음부터 순조로웠던 것은 아니다. 호주 GLNG 사업은 3년간 지속된 홍수로 인해 종합 준공이 늦어지면서 생산 일정이 지연됐다. 특히 2010년대 저유가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수익과 자산가치가 감소하자 부실 투자라는 비판 여론이 일기도 했다.전문가들은 에너지 대부분을 수입하는 한국은 장기적 안목에서 해외 자원 개발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스공사는 호주 GLNG 사업 등이 본격적인 생산단계로 돌입하면서 향후 7~8년 내에 투자비를 전액 회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투자비 회수액의 일부를 전략적으로 신규사업에 재투자할 계획”이라며 “해외사업으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