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조차 예술이 되는 곳…고목에도 싹이 돋는다
입력
수정
지면A27
제주 포도뮤지엄 기획전노후가 두려운 이유는 치매가 가장 크다.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고 가족을 떠나야 할 수도 있어서다. 무엇보다 인간의 존엄성이 위협받는다.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예술은 치매를 어떻게 볼까. 제주 서귀포시 포도뮤지엄에서 20일 개막한 기획전 ‘어쩌면 아름다운 날들’은 이런 질문을 던진다. 상실과 망각의 세계를 회화 사진 조각 음악 등 다양한 장르로 표현하면서다. 전시회에는 알란 벨처, 루이스 부르주아, 셰릴 세인트 온지, 로버트 테리엔, 더 케어테이커&이반 실, 시오타 치하루, 정연두, 민예은 등 국내외 작가 10팀이 출품했다.
회화·조각·설치미술 등 10개팀
치매와 상실 등을 주제로 출품
100여년 살다 죽은 배롱나무
다시 꽃이 만개하는 모습 연출
엄마 마지막 일상 찍어두기도
“사진 찍을 땐 머리 매만진 엄마”
미국 사진작가 셰릴 세인트 온지(사진)는 백발의 노인을 피사체로 삼은 연작 ‘새들을 집으로 부르며’(2018~2020)를 선보였다. 그의 모친은 2015년 혈관성 치매 진단을 받았다. 뉴햄프셔 농장에서 수십 년간 딸과 함께 쌓아온 추억들이 조금씩 기억 저편으로 멀어지고 있었다.어느 날 온지는 나른한 햇살이 어머니를 비추는 모습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이때부터 어머니를 가볍고도 명랑하게 촬영했다. 조류 관찰자였던 모친은 치매에 걸린 뒤에도 말총으로 새 둥지를 만들며 놀았다. 온지는 “어머니는 사진을 찍는 순간만큼은 해맑게 머리를 매만지고 옷매무새를 다듬곤 했다”고 말했다.
프랑스 출신의 세계적 조각가 루이스 부르주아는 스페인 독감으로 세상을 떠난 어머니를 6점의 ‘밀실’ 연작으로 기렸다. 국내에 처음 소개된 ‘밀실1’(1991)에는 작가의 유년기 기억이 담겼다. 페인트가 벗겨진 허름한 문틈 사이로 앙상한 침상과 의료 도구들이 보이는데 장기간 병상에 누워 있었던 어머니를 떠올리는 작품이다. 낡은 매트리스에는 ‘I need my memories: they are my documents(나에겐 기억이 필요해: 그것은 나의 기록들이다)’라는 문구가 새겨졌다. 부르주아는 성장기에 아버지와 가정교사의 불륜을 목격한 까닭에 아버지를 향한 적대감과 어머니에 대한 연민을 느끼며 자랐다.
20분의 화음 끝엔 20분의 소음
30년 이상 협연해 온 영국의 ‘예술 듀오’ 더 케어테이커(제임스 레이렌드 커비)와 이반 실은 이번 전시를 위해 음악과 회화의 컬래버를 준비했다. 암전된 공간 속에서 향수를 자극하는 선율이 인상적인 ‘텅 빈 환희의 끝 어디에나’(2024)는 43분에 걸쳐 11개의 노래가 나온다. 첫 22분 동안은 오래된 레코드판에서 흘러나오듯 잔잔한 음악 같다. 온전하진 않지만 여전히 아름다운 멜로디가 감돈다. 후반부의 강렬한 굉음 및 소음과 대조된다. 인지능력이 점차 사라지는 과정을 청각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원형 전시장 벽에는 이반 실의 회화 연작이 걸렸다. 11점의 그림은 음악의 각 트랙과 조응한다. 인간의 얼굴이나 조각을 연상케 하는 형태인데, 그 모습은 시간이 지날수록 추상적으로 왜곡된다. 결국 연작 마무리 부분에 극단적으로 단순화된 직선에 이른다. 지난했던 소음 뒤에 잠시나마 과거의 아름다운 선율이 선명해지고, 이내 모든 것이 끝나는 인생을 암시한다.
100년 살다 간 배롱나무의 생애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1층에 설치된 6m 높이의 배롱나무. 100여 년을 살다가 생을 마감한 배롱나무는 앙상한 가지만 남은 모양새다. 영상이 시작하면 제주의 계절을 따라 매화와 유채, 벚꽃이 피고 진다. 주위에 펼쳐진 갓난아이와 어린이, 노인 등 주민들의 영상을 배경으로 조용히 자신의 순간을 기다린다. 잔뜩 만개한 나무는 담담하게 꽃잎을 떨어뜨리며 다시 겨울을 맞이한다.포도뮤지엄과 조경업체 수무 등의 공동작업으로 완성된 작품이다. 8채널 영상으로 프로젝션 매핑 기술이 도입됐다. 지난해 포도뮤지엄에서 진행한 ‘추억의 비디오’ 공모전에 참여한 관객들의 실제 비디오 영상을 활용했다. 배롱나무는 김희영 포도뮤지엄 총괄디렉터의 집 앞을 지켜온 나무다. 김 총괄디렉터는 “이번 전시는 인지 저하증을 처참한 질병이 아니라 생의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마련했다”고 말했다. 국내 치매 인구는 100만 명에 달하고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 환자로 분류된다. 전시는 내년 3월 20일까지.서귀포=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