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움 '필립 파레노' 당최 어렵다고? 이 작가가 지단 축구영화도 만들었대
입력
수정
현대미술계 핵인싸 필립 파레노는 누구인가
서울 한남동 리움미술관이 개관 20주년을 맞아 준비한 필립 파레노의 국내 첫 전시 '보이스(VOICE)'. “갇힌 세계인 미술관에 틈을 내고 싶다”고 말하는 파레노의 발칙한 상상은 관람객들을 혼란에 빠뜨린다. 현대미술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로 꼽히지만 "대체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지, 뭘 말하려는 건지 모르겠다"는 사람들이 상당수.
그의 전작과 그 동안의 행보를 알면 실마리를 조금은 찾을 수 있다. 어떤 관람객이 어떤 행위를 하느냐에 따라 전시 내용도 달라진다니, 한번쯤 작가에 대해 알고 관람하는 건 어떨까.

필립 파레노는 누구인가
파레노는 지금 미술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 중 한 명이다. 파리 부르스드코메르스와 퐁피두센터, 뉴욕현대미술관(MoMA), 런던 테이트모던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베니스 비엔날레, 리옹 비엔날레, 맨체스터 국제 페스티벌 등에 참여했다. 퐁피두센터, 루마아를, 가나자와21세기미술관, 파리근현대미술관, 구겐하임미술관, MoMA, 테이트모던, 아이리쉬미술관, 반아베미술관, 와타리현대미술관, 워커아트센터 등이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파레노는 알제리 오랑에서 태어났다. 원래 수학도였다. 이후 1983년부터 그르노블의 에콜 데 보자르에서, 1988년부터 2년 간 파리 팔레 드 도쿄 인스티튜트 데 오뜨 에뛰드 앤 아트 플라스티크에서 공부했다. 졸업 후 다양한 미디어에서 여러 아티스트들과 협업했다. 그는 20대부터 “전시는 하나의 예술 작품이 아니라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매개체”라고 해왔다. 장소에 맞게 언제든 변화할 수 있는 작품을 구상하기 때문에 그 장소에서만 만날 수 있는 유일한 전시를 기획하는 작가로 유명하다. 다른 작가들처럼 ‘순회전’을 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이 프로젝트에는 더그 아이켄, 매튜 바니 & 조나단 베플러, 타시타 딘, 트리샤 도넬리, 올라퍼 엘리아슨, 리암 길릭, 도미니크 곤잘레스-포어스터, 더글러스 고든, 카스텐 회러, 피에르 휘게, 구정아, 안리 살라 15명이 넘는 아티스트와 협업했다. 이외에도 아티스트 리암 길릭과 ‘해변을 통해 달로’(2012)를 제작해 프랑스 아를의 원형 극장에서 전시했다. 당시에도 22명의 예술가와 함께 작업하는 등 혼자가 아닌 여러 분야의 예술가와 함께 하는 데 능한 독보적인 예술가다.
루이비통, 테이트모던이 열광한 현대미술계 스타
미술계가 아닌 일반 대중들에게 그의 이름을 알리는 기회는 최근 몇년 사이 부쩍 많았다. 2022년 10월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서 열린 루이 비통 패션쇼의 배경으로 제작된, 붉은 색 대형 꽃잎 세트 ‘몬스터 플라워’가 그의 작품이었다. 이 세트 디자인은 헐리우드 디자이너 제임스 친룬드와 그가 협업했다.루이 비통의 여성 컬렉션 예술감독인 니콜라스 제스키에르와의 오랜 우정이 이 작품으로 이어진 것.세계 주요 미술관이 사랑하는 이유
어디서나 완전히 새로운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는 건 미술계가 그에게 열광하는 핵심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독일 베를린의 마틴-그로피우스 바우에서 2018년 열었던 대규모 개인전 ‘Looking back on a Future’은 테이트 모던 미술관에서의 전시에 버금가는 규모를 자랑한다.프랑스 파리의 부르스 드 코메르스의 로툰다에서 2022년 선보인 전시도 그랬다. 커다란 LED 화면 위로 일본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초기 영상 작품 ‘세계 어디에서나(Anywhere Out of the World)’가 비치는데. 가상 캐릭터인 앤 리는 관객과의 교류를 통해 가상과 현실을 넘나든다. 그 주위로 자리 잡은 안테나 모양의 설치 작품 ‘헬리오트로페스(Heliotropes)’(2022)가 유리로 된 천장 돔에서 내려오는 햇빛을 반사해 시시각각 변하는 조명을 만들어냈다. 김보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