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살 아내가 23세 男과 외도'…진실 알게 된 남편 반응이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입력
수정
'문제적 초현실주의 거장'
살바도르 달리(1904~1989)
그와 딱 맞는 짝, 갈라
이 초현실적 '부부의 세계'
![갈라와 달리.](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210856.1.jpg)
79살의 배우자가 56살 어린 애인을 만나고 있다는 건 분통 터지는 황당한 일입니다. 하지만 1973년 초현실주의 거장 살바도르 달리(1904~1989)에게 이는 엄연한 현실이었습니다. 그리고, 너무나도 가슴 아프고 두려운 일이었습니다.
![기억의 지속(1931)./뉴욕 MoMA](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210846.1.jpg)
금쪽이, 그림 천재 되다
스페인 동북부 카탈루냐 지방에는 ‘알 엠포르다’라는 지역이 있습니다. 프랑스 국경과 지중해를 접한 이곳은 시속 129km에 달하는 거센 바람이 수시로 불어오는 동네입니다. 이런 바람은 오랜 세월에 걸쳐 산과 바위를 신비롭고 환상적인 모양으로 깎아냈습니다. 하지만 바람은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마음까지도 꺾어 버렸습니다. ‘저 바람은 사람을 미치게 만든다.’ 동네 사람들은 이런 얘기를 주고받곤 했습니다. 정신질환을 앓던 달리의 할아버지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을 때도, 사람들은 그런 얘기를 수군거렸습니다.하지만 예술적 재능은 때로 이런 광기에서 태어나기도 합니다. 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표현하는 게 바로 예술이니까요. 다행히도 달리에게는 천재적인 재능과 노력하려는 의지가 있었습니다. 달리는 금세 독학으로 출중한 그림 실력을 갖추게 됐습니다. “저 녀석은 미술을 해야 사람 구실을 하겠어.” 아버지는 달리가 마드리드에 있는 왕립 미술 아카데미 시험을 치게 해 줬습니다. 특유의 소심함과 완벽주의 탓에 달리가 완성한 그림은 너무 작아서, 시험에서 요구하는 최소 크기에도 못 미쳤습니다. 하지만 아카데미는 달리를 입학시켰습니다. 너무 잘 그렸기 때문이었습니다.
1925년 21살이 된 달리는 바르셀로나에서 개인전을 열어 미술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합니다. 같은 스페인 출신 거장인 파블로 피카소와 호안 미로를 만난 것도 이 시기입니다. 피카소는 “끊임없이 돌아가는 모터 같은 창의력을 갖고 있다”고 달리를 칭찬했고, 미로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건 원하는 작품이 나올 때까지 고집을 부리는 것”이라고 조언해 줬습니다. 곧 달리는 학교를 그만두고 프랑스 파리에서 화가로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사람들은 금세 그의 참신한 작품에 푹 빠졌고, 그림은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습니다.
하지만 그는 훗날 회고했습니다. “그 때 나는 거의 미쳐가고 있었다. 어린 시절부터 갖고 있었던 광기가 심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와 미치광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나는 아직 미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초현실주의, 그리고 갈라
달리가 25살이 되던 1929년, 그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첫 번째는 본격적으로 초현실주의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것. 이 시기 달리는 자신을 사로잡는 광기를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냈습니다. 어린 시절 그가 고향의 자연을 바라보며 여러 가지 모양과 환상을 떠올렸던 것처럼, 주변에 있는 물건들을 오랫동안 바라보다 갑자기 떠오르는 것들을 캔버스에 그려 넣기 시작한 겁니다.두 번째는 평생의 사랑, 갈라와 만난 것이었습니다. 달리보다 열 살 많은 갈라는 유부녀인데다 자식까지 있었습니다. 하지만 갈라 역시 달리처럼 어딘가 비뚤어진 광기의 소유자. 더 중요한 공통점은, 둘 다 윤리 의식이 바닥이었다는 겁니다. 둘은 첫눈에 서로를 알아봤고 금세 사랑에 빠졌습니다. 그리고 갈라는 곧 남편과 이혼한 뒤 달리와 결혼했습니다. 사람들은 둘을 손가락질했습니다. “끼리끼리 만났다”고들 수군거렸지요. 특히 달리의 아버지는 이 결혼을 극구 반대했습니다. 하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습니다.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만, 갈라가 달리를 사랑하지 않았던 건 아닙니다. 자신이 사랑하는 갈라와 함께 산다는 것 자체가 달리에게 정신적으로 큰 도움이 됐습니다. 또 갈라는 뛰어난 교양과 예술적 센스로 달리의 작품에 큰 도움을 줬습니다. 그녀는 달리의 낙서를 메모로 잘 다듬어서 정리하고, 이를 이론으로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래서 달리는 “내 작품 세계의 절반은 갈라가 만들었다”고 말하며 작품 서명에 갈라의 이름을 함께 써넣곤 했습니다.
쇼맨, 몰락의 시작
달리는 천재였고, 좀 미쳐 있었고, 늘 사람들의 관심을 절실히 필요로 했습니다. 여기에 하나 더. 그는 타고난 쇼맨십의 소유자였습니다. 어떻게 하면 대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지, 그게 어떻게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지를 본능적으로 잘 알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갈라와 화려한 결혼 생활을 하려면 돈이 필요했습니다. 이미 성공한 화가였지만, 달리는 과격한 말과 이상한 행동을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만들어서 더 적극적인 돈벌이에 나섰습니다. 그는 이렇게 자신을 합리화했습니다. “내 존재와 행동은 그 자체가 사회적인 규칙에 도전하는 예술이다.”제2차 세계대전을 피해 도착한 미국에서는 그의 쇼맨십이 더 잘 먹혔습니다. 여기에 달리는 히치콕과 영화를 제작하고 디즈니와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였습니다. 언론과 대중은 달리를 이렇게 평가했습니다. “달리는 초현실주의의 지도자다.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해내는 천재, 상상의 세계를 예견한 선지자다.” 당시 달리는 얼마나 인기가 많았는지, 길을 걸을 때마다 사인해달라는 사람이 몰려드는 탓에 제대로 집 밖에 나가지도 못할 정도였다고 합니다. 이는 훗날 앤디 워홀 등 여러 현대미술가의 ‘이미지 메이킹’에 큰 영향을 줬습니다.
확실히 돈이 잘 벌리긴 했습니다. 40대 이후 달리는 엄청난 부자가 됐습니다. 하지만 그의 욕심은 멈출 줄 몰랐습니다. 주변에서도 탐욕을 부추겼습니다. 가뜩이나 도덕성이 희박했던 달리는, 예술가로서 해서는 안 될 짓을 저지르고 맙니다. 빈 종이에 서명만 한 뒤 업자에게 돈을 받고 넘겨서, 업자가 마음대로 자기 작품을 위조해 원본처럼 팔아치울 수 있게 한 겁니다. 이런 사실은 1974년 프랑스 세관에서 달리의 서명이 담긴 1만장의 빈 종이가 적발되면서 드러났습니다. 훗날 한 업자는 “총 8만7500장의 종이를 넘겨받았다”고 자백했습니다. 실제로는 더 많았을 겁니다.
달리 역시 다른 젊은 여성들과 자주 만났습니다. 하지만 이는 갈라의 관심을 끌기 위해 바람피우는 척 한 것뿐이었습니다. 하지만 갈라는 이를 신경조차 쓰지 않았고, 사실상 별거 생활을 하며 달리를 잘 만나주지도 않았습니다. 상처받은 달리는 시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달리의 슬픔이 얼마나 깊었는지, 그는 갈라가 자신을 떠날 것 같다는 공포에 그림도 못 그릴 지경이 됐습니다.
나를 홀로 묻어 줘
아주 기괴하고 비도덕적인 모양새긴 했지만, 달리와 갈라가 분명 한 때 서로를 깊이 사랑했다는 것만큼은 사실입니다. 두 사람은 한 팀이 돼 위대한 예술세계를 탄생시켰고, 보통 사람은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 큰 돈을 벌었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광기는 서로를 파괴했습니다. 달리는 발전을 멈추고 쇠퇴했고, 깊은 마음의 상처를 받았습니다. 갈라는 자신이 마음대로 남자를 만나며 살지 못하는 게 달리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마침내 그녀는 달리를 증오하게 됐습니다.달리의 마지막은 그리 아름답지 못했습니다. 갈라가 떠나자 그는 심각한 정신적 불안과 외로움에 시달렸습니다. 그래서 그는 밤마다 머리맡에 있는 종을 흔들어서 시도 때도 없이 가사 근로자들을 부르곤 했습니다. 그런 다음 고함을 치고, 성질을 부리고, 침을 뱉고, 얼굴을 할퀴었습니다. 이를 견디다 못한 가사 근로자들은 종을 떼어버리고 그 자리에 호출 버튼을 달았습니다. “종소리보다는 차라리 전자음이 낫지.” 그러던 어느 날 밤, 달리는 호출 버튼을 끊임없이 연타했고, 이로 인해 합선이 일어나 불이 났습니다. 가사 근로자들이 얼른 달려왔지만 달리가 몸 80%에 화상을 입은 뒤였습니다.
달리의 두 얼굴
달리가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화가이자 위대한 업적을 남긴 거장이라는 사실을 의심하는 평론가는 거의 없습니다. 그가 만든 이미지들은 전 세계로 널리 퍼져나갔고, 이는 현대인의 무의식 속에 깊이 각인됐습니다. 팝아트를 비롯한 여러 미술 사조는 물론 컴퓨터 그래픽의 많은 요소, 예컨대 그라데이션(하나의 색채에서 다른 색채로 변하는 단계)이나 픽셀 등의 아이디어가 달리의 영향을 받은 게 단적인 예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작품값이 높은 것으로 유명한 현대미술가 제프 쿤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오늘날의 세계는 달리의 눈으로 본 세상이다.”달리가 그린 몽환적인 풍경이 매력적이면서도 왠지 불편한 건, 위대한 예술적 재능과 인간 본성의 나약하고 추한 면을 이처럼 동시에 담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그 또한 삶과 세상의 일부이기도 하고요.
좋은 주말 보내세요.****이번 기사는 도서 The Shameful Life of Salvador Dali(Ian Gibson), ‘나는 세계의 배꼽이다 : 살바도르 달리의 이상한 자서전’(살바도르 달리 지음), ‘살바도르 달리, 스페인 카탈루냐의 위대한 쇼맨, 초현실주의 화가’ 재키 드 버카 지음, 심지영 옮김, 논문 ‘The Enigma of Desire : Salvador Dali and the conquest of the irrational’(Zoltan Kovary, PSYART, 2009/6/29), ‘The Vernacular as Vanguard-Alfred Barr, Salvador Dalí, and the U.S. Reception of Surrealism in the 1930s’(Sandra Zalman, Journal of Surrealism and the Americas 1, 2007) 등을 참조했습니다.
<그때 그 사람들>은 미술과 고고학, 역사 등 과거 사람들이 남긴 흥미로운 것들에 대해 다루는 코너입니다. 토요일마다 연재합니다. 쉽고 재미있게 쓰겠습니다. 네이버 기자 페이지를 구독하시면 5만여명 독자가 선택한 연재 기사를 비롯해 재미있는 전시 소식과 미술시장 이야기를 놓치지 않고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