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IPO 예비심사에 역대급 병목…거래소·주관사의 직무유기
입력
수정
지면A35
IPO(기업공개)로 가는 길이 꽉 막혔다. 상장 추진 기업이 한국거래소 예비심사에 6개월 넘게 묶여 있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예비심사부터 상장까지 1년 넘게 걸리기도 한다. 거래소 상장 규정상 심사 신청을 받으면 45영업일 안에 결과를 통지해야 하지만 이 기간이 지켜진 경우는 5% 남짓에 불과하다. 한국거래소의 평균 심사 기간은 2019년까지만 해도 50일이 안 됐지만, 지난해 85.4일로 늘며 해마다 신기록을 경신하는 추세다.
이처럼 심사가 무한정 지연되다 보니 신청 기업은 IPO를 통한 자금 조달에 차질을 겪는 것은 물론 회사 운영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악소문에 시달리기도 한다. 투자 기업 IPO를 통한 자금 회수 계획이 틀어진 벤처캐피털(VC)과 사모펀드(PEF) 등 기관투자가의 신규 투자가 위축되면서 자금 경색이 도미노처럼 번질 수 있다는 우려마저 커지는 상황이다.
한국거래소의 늑장 심사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매년 100건에 가까운 코스닥 IPO 기업을 30여 명에 불과한 인력이 심사하는 데 따른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지난해 ‘뻥튀기 상장’ 논란을 빚은 파두 사태 이후 심사가 한층 깐깐해진 영향도 있다. 하지만 갈수록 정도가 심해지는 데에는 바이오·인공지능(AI) 등 신사업 모델을 앞세운 기업이 몰려드는 가운데 심사 역량이 이를 쫓아가지 못하는 탓이 크다. 기술성과 시장 전망에 대한 전문성 강화가 시급한 이유다. 지난달 취임한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최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증권사들이 주관사 수임 경쟁을 하면서 제대로 검증 안 된 기업을 마구잡이로 상장 심사에 올리는 데다 준비마저 허술한 것도 현실이다. 이러니 정정과 추가 보완 요구가 다반사로, 심사 지연을 심화한다. 시대 변화를 못 따라가는 IPO 심사 규정을 발굴, 손질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처럼 심사가 무한정 지연되다 보니 신청 기업은 IPO를 통한 자금 조달에 차질을 겪는 것은 물론 회사 운영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악소문에 시달리기도 한다. 투자 기업 IPO를 통한 자금 회수 계획이 틀어진 벤처캐피털(VC)과 사모펀드(PEF) 등 기관투자가의 신규 투자가 위축되면서 자금 경색이 도미노처럼 번질 수 있다는 우려마저 커지는 상황이다.
한국거래소의 늑장 심사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매년 100건에 가까운 코스닥 IPO 기업을 30여 명에 불과한 인력이 심사하는 데 따른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지난해 ‘뻥튀기 상장’ 논란을 빚은 파두 사태 이후 심사가 한층 깐깐해진 영향도 있다. 하지만 갈수록 정도가 심해지는 데에는 바이오·인공지능(AI) 등 신사업 모델을 앞세운 기업이 몰려드는 가운데 심사 역량이 이를 쫓아가지 못하는 탓이 크다. 기술성과 시장 전망에 대한 전문성 강화가 시급한 이유다. 지난달 취임한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최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증권사들이 주관사 수임 경쟁을 하면서 제대로 검증 안 된 기업을 마구잡이로 상장 심사에 올리는 데다 준비마저 허술한 것도 현실이다. 이러니 정정과 추가 보완 요구가 다반사로, 심사 지연을 심화한다. 시대 변화를 못 따라가는 IPO 심사 규정을 발굴, 손질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