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미술시장 '풍향계' 아트바젤 홍콩, 첫날 판매실적도 공개 못한 까닭은?
입력
수정
아시아 최대 아트페어 아트바젤 홍콩, 뜻밖에 한산
첫날 오후 공개하던 판매 리포트 이례적 '비공개'
미술품 쓸어담던 중국 '큰손' 보기 힘들어
중국 경기침체·홍콩 정치불안 영향인듯
지난 한 달간 전 세계 미술계의 눈은 홍콩에 맞춰졌다. 올해 아시아를 넘어 세계 미술시장의 전망을 점쳐볼 수 있는 ‘아트바젤 홍콩’(26~29일)이 열렸기 때문이다.매년 3월 개최되는 아트바젤 홍콩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아트페어이자 글로벌 미술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로 여겨진다. 세계 미술업계가 이 페어에서 팔리는 예술품의 규모를 보고 한 해 시장 전망을 점치기 때문이다. 올해는 그 규모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으로 완벽히 회귀한 수준으로 열려 더욱 주목을 받았다. 40개 국가에서 242개의 갤러리가 참가했다. 지난해에 비해 37% 증가한 숫자다.

이번 장터에 부스를 낸 242개 갤러리 중 한국 화랑은 10곳. 국제갤러리는 오픈과 동시에 강서경의 작품을 9만 달러(한화 약 1억 2060만원)에, 줄리아 오피의 작품을 11만 파운드(한화 약 1억 8600만원)에 판매했다. 하지만 한국 화랑들도 뜨거운 분위기를 느끼지 못하는 눈치다. 국제갤러리 윤혜정 이사는 “중국 손님보다 한국인이 많아진 건 사실”이라며 “지난해와 같이 오픈일이나 사전 판매로 불티나게 팔리는 분위기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에이드리언 청은 아트 페스티벌 기간 동안 아시아 최초로 대형 패션 행사인 컴플렉스콘, VIP 자선 파티 등을 열며 홍콩으로 빅샷들을 불러들이는 데 성공했다. 한스 울리히 오브히스트 서펜타인 갤러리 디렉터, 카린 힌즈보 테이트모던 관장 등이 이번 아트위크 기간 홍콩을 찾아오며 기대를 모았다.
행사가 열리기 전까지만해도 아트바젤 홍콩을 향한 전망은 낙관적이었다. 실제 지난 13일 아트바젤과 글로벌 금융투자회사 UBS가 공개한 ‘글로벌 아트마켓 2024’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예술시장은 9%가량 성장하며 2022년 영국에 내줬던 2위 자리를 탈환했다. 노아 호로위츠 아트바젤 최고경영자(CEO)도 개막 전 열린 간담회 자리에서 “지난해 글로벌 판매 리포트를 보면 중화권 시장은 여전히 견고하다”며 "중국은 지난해 주요 국가들의 매출 규모가 위축되는 상황에서도 홀로 전년 대비 성장했다"고 강조했다.
참가 갤러리 간 판매 실적 차이도 컸다. 주목받는 작품을 들고 나온 대형 갤러리들만 성과가 좋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하우저앤워스 갤러리다. 이 갤러리는 350만달러짜리 마크 브래드포드의 작품과 에드 클라크의 110만 달러짜리 작품을 중국의 한 재단에 넘겼고, 그 외에도 어제 하루동안 9개의 작품을 판매했다. 한국 갤러리 조현화랑도 가지고 나온 이배 작품 세 점을 모두 인도의 한 컬렉터에게 넘겼다.
그러나 미국 갤러리 카르마를 비롯한 다른 갤러리에서는 “지난해 행사와 비교했을 때 올해 VIP 오픈일 판매량이 현저히 줄어들었다”고 토로했다. 비싼 대작들 대신 ‘지갑을 쉽게 열 수준의’ 저렴한 작품들만 가지고 나오자는 전략을 택한 갤러리도 많았다. 일본 갤러리 웨이팅룸은 타카타 후지히로의 비디오 작품을 3000달러라는 싼 가격에 선보이기도 했다.
두 번째는 서양 대형 갤러리 부재다. 실제 올해 아트바젤 홍콩에는 마리안 굿맨, 션 켈리 갤러리 등 2019년 홍콩 바젤에 부스를 냈던 세계 대표 갤러리들이 돌아오지 않았다. 홍콩과 중국 간 정세 불안과 중화권 내 예술시장 경기 침체를 미리 예상한 까닭이다. 자연스레 수백억대의 대작 출품 수도 줄었다. 이날 현장을 찾은 컬렉터들도 "서양 대형 갤러리가 빠져 볼 만한 작품이 줄어들었다"며 "지난해 12월 열린 아트바젤 마이애미와 달리 비싼 작품들도 찾아보기 힘들다"고 입을 모았다.
최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