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울산은 왜 젊은이들을 붙들지 못하나

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

양승훈 지음 / 부키
432쪽|1만9800원

쇠퇴 우려 커지는 산업의 수도
'남성·정규직·대기업' 중심 노조
청년들 좋아하는 일자리 무관심
젊은 부부 맞벌이하기도 어려워

젊은 도시로 거듭나는 첫걸음은
지역 대학-산업간 연계성 강화
울산은 1960년대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이후 자동차와 조선(造船), 중화학 등 한국의 ‘3대 먹거리’를 책임지며 부를 쌓았다. 2022년 기준 울산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은 7751만원으로 25년째 전국 1위를 지켰다. 1997년 외환위기 국면에서도 ‘개마저 1만원짜리 지폐를 물고 다닌다’는 농담이 나왔을 정도였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 했던가. 화려했던 울산의 꽃이 지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최근 출간된 <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는 30년 뒤 울산이 산업 쇠퇴와 고령화, 인구 감소로 인해 유령 도시로 변모할 것이라고 예언한다.
저자는 경남 거제의 조선소에서 일한 경험을 토대로 5년 전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를 펴낸 양승훈이다. 그는 신간에서 사회학, 노동경제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울산의 암울한 미래와 한국 제조업의 불투명한 전망을 제시한다.

울산은 기적적인 성장으로 한국이 세계 최빈국에서 10대 교역량을 자랑하는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을 견인했다. 태평양과 교두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일찌감치 석유 기지로 활용된 것이 시작이었다. 1962년 울산공업지구가 들어서며 한국의 산업 수도로 급부상했다. 울산은 모험심 충만한 기업가들과 함께 성장했다.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영국 바클레이스 은행을 찾아 동전에 새겨진 거북선을 보여주며 조선업의 물꼬를 튼 것은 익히 알려진 일화다.저자는 울산의 심장 박동이 201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꺼져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20~30대를 중심으로 인구가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청년들은 왜 울산을 떠날까.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산업이 충남 천안 이북에 집중된 것이 원인 중 하나다. 여기에 2014년 시작된 조선업 불황과 2015년 현대중공업의 구조조정을 거치며 영남 지역 제조업이 하락세를 탔다. 울산 청년들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향할 수밖에 없었다.

젊은 여성을 위한 일자리가 부족한 것도 큰 문제다. 2016년 기준 울산의 맞벌이 가족 비율은 37.6%로, 전국 평균인 44.9%에 한참 못 미쳤다. 그마저 여성의 직종은 간호조무사, 어린이집 교사 등 ‘핑크 칼라’ 위주였다. 여성의 사회 진출이 본격화된 요즘 시대에, 이들을 붙잡을 만한 다양한 선택지가 부족하다는 의미다.가장 큰 걸림돌은 경직된 노사협의체다. 외환위기 당시 동료들의 정리해고를 목도한 노동자들의 트라우마가 원인이 됐다. ‘잘리기 전 최대한 많이 벌어두겠다’는 심산은 소위 귀족 노조를 형성하는 밑거름이 됐다. 1970~1990년대 사이 입사한 이들은 높은 임금과 복리후생, 고용 안정 등 굳건한 기득권을 구축했다. 젊은 층이 들어설 공간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저자는 “귀족 노조가 주장하는 노동자 권익이 ‘남성, 정규직, 대기업’에 편중됐다”는 점을 문제 삼는다. ‘밥꽃양 사태’가 단적인 예다. 1998년 현대자동차 노사협의 과정에서 정규직 노동자의 일자리 보전을 식당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 300여 명의 해고와 맞바꾼 사건이다.

‘젊은 도시’ 울산의 아성을 되찾기 위한 첫걸음으로는 산학(産學) 연계를 지목한다. 저자는 “울산대 인문대와 UNIST(울산과학기술원) 등 지역 산업과 동떨어진 대학의 지역 연계성을 강화해야 청년들을 붙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한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