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사람은 누구나 열정이 과하면 실수할 수 있고, 모든 사람이 의사처럼 근거와 가능성을 따지고 판단이 맞는지 틀렸는지 따지고 살지는 않는다"며 "그분(대통령)의 열정을 이해하도록 잠시나마 노력해달라. 대통령의 열정과 정성만 인정해도 대화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을 향해서는 "젊은이들에게 먼저 팔과 어깨를 내밀고 현장을 떠난 전공의 1만3천명 중 대표 한명이라도 딱 5분만 안아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숨 막히던 갈등 기간 국민과 환자는 가슴을 졸이며 불안에 떨어야 했다.
현재 이 난관을 해결할 사람은 대한민국에서 단 한명, 대통령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용은 힘이 있는 자만이 베풀 수 있다고 했다.
그러한 힘을 가진 사람은 대통령 외에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전의교협은 몇 시간 후 자료를 내고 "브리핑 내용은 전의교협 소속 전체 교수들의 의견이 아니다.
'법과 원칙만 논하지 말고 상식 수준에서 전공의들을 만나 귀기울여 달라'는 내용이 곡해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대통령이 의료 공백 해결의 열쇠를 쥔 전공의들을 직접 만나 대화해야 한다는 요청은 의료계에서 여러 차례 나온 바 있다.
앞서 대한의사협회도 지난달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해 윤석열 대통령이 이들과 직접 만나 '결자해지'로 상황을 타개해 달라"고 요구했다.
차기 의협회장으로 선출된 임현택 당선인은 대화 전제 조건으로 "대통령의 직접 사과"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대통령실의 '직접 대화' 제안에 전공의단체는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연합뉴스는 대전협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에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박단 비대위원장은 전날 대통령 담화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의에는 "특별한 입장이 없다"고 짧게 답했다.
대전협은 지난 2월 정부에 의대 증원 전면 백지화와 전공의 업무개시명령 철회 등 7가지 조건을 요구한 이후 어떤 대화 요구에도 응하지 않고 '입장 없음'을 고수하고 있다.
다만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KBS 9시 뉴스에 출연해 "(대통령과 전공의 간의) 대화를 위한 접촉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혀 '물밑 접촉' 가능성을 암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