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심한데 원전은 단 한개"…美제재 피해 아프리카 찾는 러시아
입력
수정
러시아가 원자력발전 산업에 대한 미국의 제재 가능성에 대비해 아프리카 대륙 진출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원자력 기업 로사톰의 라이언 콜리에르 아프리카지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남아공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아프리카 최대 에너지 행사 '아프리카 에너지 인다바'에 참석해 원전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산업화된 국가인 남아공이 안정적이고 저렴하며 환경 친화적인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자력 프로그램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이에 그웨데 만타셰 남아공 에너지부 장관은 "원자력 에너지가 지난 20년 가까이 대규모 정전과 씨름해 온 남아공에 해결의 열쇠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화답했다. 만타셰 장관은 "2500메가와트(㎿) 규모의 원전을 개발하겠다는 발표는 꿈이 아니다"며 "이미 합의가 이루어졌고 조달 역량도 확보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전 투자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남아공 정부는 작년 말 2032년 가동을 목표로 2500㎿ 규모의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남아공 야당과 서방 정부는 러시아 원전 업계와의 유착 가능성을 우려했다. 남아공은 제이콥 주마 전 대통령 정부 시절인 2014년 로사톰과 760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고 비공개로 원전 도입 사업을 추진하다가 2017년 법원의 위헌 결정으로 무산된 바 있다.
아프리카는 원전 불모지로 통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원전은 현재 전 세계 전기 생산량의 약 10%를 담당하고 있지만, 아프리카에서는 단 한 개의 원전만 운영되고 있다. 케이프타운에서 북쪽으로 약 50㎞ 떨어진 곳에 세워진 쿠벅 원전 2기(1800㎿)가 아프리카 대륙의 유일한 원전이다.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원전 르네상스 움직임에 따라 우간다, 르완다, 케냐 등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원전 건설 계획을 발표하기 시작했다.러시아가 새로운 원전 시장으로 아프리카 진출에 공을 들이는 배경에는 서방의 러시아 원전 제재 가능성이 있다고 FT는 분석했다. 러시아는 현재 농축우라늄(핵연료)의 5분의1 이상을 공급하고 있는데, 서방이 이 의존성을 줄이려하고 있어서다. 미국 하원은 지난해 러시아산 농축우라늄(핵연료) 수입 금지안을 통과시켰다. 유럽연합(EU)에서도 로사톰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라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알렉산더 드 크로 벨기에 총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쟁 자금을 더 이상 늘리지 않도록 하려면 EU가 가능한 한 빨리 러시아산 핵연료 수입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원자력 기업 로사톰의 라이언 콜리에르 아프리카지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남아공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아프리카 최대 에너지 행사 '아프리카 에너지 인다바'에 참석해 원전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산업화된 국가인 남아공이 안정적이고 저렴하며 환경 친화적인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자력 프로그램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이에 그웨데 만타셰 남아공 에너지부 장관은 "원자력 에너지가 지난 20년 가까이 대규모 정전과 씨름해 온 남아공에 해결의 열쇠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화답했다. 만타셰 장관은 "2500메가와트(㎿) 규모의 원전을 개발하겠다는 발표는 꿈이 아니다"며 "이미 합의가 이루어졌고 조달 역량도 확보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전 투자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남아공 정부는 작년 말 2032년 가동을 목표로 2500㎿ 규모의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남아공 야당과 서방 정부는 러시아 원전 업계와의 유착 가능성을 우려했다. 남아공은 제이콥 주마 전 대통령 정부 시절인 2014년 로사톰과 760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고 비공개로 원전 도입 사업을 추진하다가 2017년 법원의 위헌 결정으로 무산된 바 있다.
아프리카는 원전 불모지로 통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원전은 현재 전 세계 전기 생산량의 약 10%를 담당하고 있지만, 아프리카에서는 단 한 개의 원전만 운영되고 있다. 케이프타운에서 북쪽으로 약 50㎞ 떨어진 곳에 세워진 쿠벅 원전 2기(1800㎿)가 아프리카 대륙의 유일한 원전이다.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원전 르네상스 움직임에 따라 우간다, 르완다, 케냐 등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원전 건설 계획을 발표하기 시작했다.러시아가 새로운 원전 시장으로 아프리카 진출에 공을 들이는 배경에는 서방의 러시아 원전 제재 가능성이 있다고 FT는 분석했다. 러시아는 현재 농축우라늄(핵연료)의 5분의1 이상을 공급하고 있는데, 서방이 이 의존성을 줄이려하고 있어서다. 미국 하원은 지난해 러시아산 농축우라늄(핵연료) 수입 금지안을 통과시켰다. 유럽연합(EU)에서도 로사톰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라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알렉산더 드 크로 벨기에 총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쟁 자금을 더 이상 늘리지 않도록 하려면 EU가 가능한 한 빨리 러시아산 핵연료 수입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