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넬리 '울게 하소서' 기억한다면 필립 자루스키를 들어보자
입력
수정
[arte] 강성곤의 아리아 아모레30년 전인 1995년 제작돼 이듬해 국내 개봉한 화제작 <파리넬리(Farinelli)>. 이름도 낯선 데다 감독 이름은 제라르 코르비오라는 프랑스人, 더구나 클래식 영화. 흥행과는 대척점에 있는 요소들로 가득한 조건이었다. 그러나 카스트라토(Castrato)라는 신비한 존재성이 빛을 발했고, 그가 발산하는 신묘한 목소리의 아리아, 헨델의 ‘울게 하소서’ 사운드트랙이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헨델 오페라 中 '울게 하소서'
파리넬리는 파리나(Farina)라는 후견인의 총애를 받는 사람이란 의미의 예명이다. 주인공은 실제 인물 카를로 브로스키(Carlo Broschi,1705~1782, 伊). 17세기 유럽을 사로잡은 카스트라토다. 영화는 바로 이 파리넬리의 영광과 좌절을 담는다. 이 영화를 못 봤다면 불행한 사람이다. OTT라 했던가? 다시 보기 플랫폼, 이럴 때 유용하다. 카스트라토는 누구인가? 거세(去勢) 가수를 말한다. 중세의 서양은 여성이 무대에 서거나 노래할 수 없었다. 그러나 높고 강한 소리는 필요했다. 10세 전후 사내아이의 고환을 자르면 허파(폐)는 성장하되 성대는 소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폐활량은 커지나 어린이의 소리, 다시 말해 맑고 고운 여성의 목소리처럼 노래하게 되는 것이다. 이들은 화려한 의상에 화장을 하고 무대에 올랐다. 일본의 가부키(歌舞伎), 중국의 경극(京劇)도 같은 맥락이다.
17세기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카스트라토는 전성기를 맞는다. 이유는 그 희소성 때문에 엄청난 부(富)를 거머쥘 수 있었기 때문. 보통 직업인의 10배 정도 보수를 보장받았다고 한다.
카스트라토의 상품성을 눈여겨본 작곡가가 바로 헨델이다.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은 야심가였다. 에너지가 넘쳤고 다혈질이었으며 출세욕에 불탔다. 오페라로 성공하고 싶은데 고향 독일은 척박했다. 본고장 이탈리아보다 한창 떠오르던 시장, 영국을 택한다. 34편의 오페라 중 첫 출세작이 바로 세 번째 작품 <리날도(Rinaldo)>(1710). 내용은 이렇다. 십자군 전쟁 때, 리날도 장군이 사라센 일당들에게 끌려간 아름다운 약혼자 알미레나(Almirena)를 구하러 갖은 고초 끝에 구해내고, 전투에서도 승리해 금의환향한다는 얘기다. 2막에서 적군의 왕인 아르간테(Argante)가 알미레나의 미모에 반해 유혹하자 그녀가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데, 이때 부르는 노래가 바로 ‘울게 하소서(Lascia ch'io Pianga)’, 영어로 직역하면 ‘Let me Cry’다.
“울게 하소서/내 슬픈 운명/자유를 잃었네/울게 하소서/고통의 끈을 끊어주소서/자비를 베푸소서/나는 한숨짓네/나는 탄식하네/자유를 찾을 수 있기를”
그윽하게 휘감으며 파고드는 선율미, 시나브로 가슴과 머리에 맺히는 잔향은 과연 명곡(名曲)답다. 바로크 오페라는 대개 극의 구성이나 이야기 전개는 허술한 편이다. 관객들은 가수의 노래 기교에 열광하고, 곡조는 그저 단순한 것을 좋아했다.
‘울게 하소서’는 메조소프라노, 또는 현대의 카스트라토라고 할 수 있는 카운터테너들이 불러야 제맛이다. 이탈리아가 낳은 불세출의 디바 체칠리아 바르톨리(Cecilia Bartoli, 1966)를 빼놓을 수 없다. 성녀 체칠리아(Santa Cecilia)가 바로 음악의 수호성인인데 공교롭다. 믿을 수 없을 정도의 긴 호흡, 기가 막힌 비브라토(장식음)로 곡을 지배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소프라노 음역까지 넘나든다.
조수미(1962)를 카라얀에게 소개해 준 주인공으로도 유명하다. “언니! ‘Sukyung Jo(조수경)’는 유럽인들에게 어려운 발음이야. 이름을 바꿔 봐. ‘Sumi Jo(조수미)’ 어떠냐고? 오, 좋은걸!” ‘조수경’이 ‘조수미’가 된 계기다.
강골 이미지지만 수더분하고 살가운 캐릭터의 소유자. 카운터테너는 안드레아스 숄, 데이비드 대니얼스, 브라이언 아사와 등이 퇴조하고 현재는 필리프 자루스키(Philippe Jaroussky, 1978, 佛) 원톱으로 굳어지는 추세다. 안정감 있고 표현력이 뛰어나다. 두 차례 내한공연을 가진 바 있다. /강성곤 음악 칼럼니스트, 전 KBS아나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