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업계 "대만 강진으로 세계 첨단반도체 공급 차질 가능성"
입력
수정
가동중단 시설 재개에 시간 필요할 수도…반도체 가격 상승 압력
'지진 우려+지정학적 문제' 대만 첨단공장 집중에 우려 시각도 대만에서 3일(현지시간) 25년 만의 강진으로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TSMC 등 대만 내 주요 반도체 기업 생산시설 가동이 일부 중단되자 시장에서는 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 반도체 공급망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했다. 4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애플과 엔비디아 등에 반도체 칩을 공급하는 TSMC는 3일 이번 지진으로 일부 생산시설의 가동을 중단했으나 밤새워 생산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TSMC뿐 아니라 유나이티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UMC), 뱅가드국제반도체그룹(VIS), 파워칩(力積電) 등 반도체 기업들도 이번 지진의 진앙에서 가깝지는 않지만, 일부 공장에서 직원들을 대피시키고 점검을 위해 가동을 중단했다.
TSMC는 대피했던 직원들이 생산시설에 복귀했다고 밝혔으나 이번 지진의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이사야리서치는 이날 메모에서 TSMC의 신주과학단지와 타이난, 타이중에 있는 생산시설의 가동이 중단됐던 만큼 일부 선적을 늦춰야 할 뿐 아니라 생산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웨이퍼 투입량을 늘려야 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이사야리서치는 "강진 충격에서 벗어나는 데는 생산을 재개하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신중한 조치와 시간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추가적인 문제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3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첨단공정 시설의 가동이 일시 중단됐으며 이 공정의 핵심 장비인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도 8∼15시간 가동이 멈췄다고 TSMC 측은 밝혔다. 투자은행 바클리는 이에 대해 보고서에서 고도로 정교한 반도체 팹(fab·반도체 생산시설)은 몇 주간 진공상태에서 연중무휴로 24시간 가동돼야만 한다고 지적하고, 가동 중단으로 공정에 차질이 생겨서 반도체 가격 상승 압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이로 인해 한국과 일본 등에서 생산되는 실리콘 웨이퍼나 메모리 반도체 등 제품 생산 단계와 중국 베트남 등의 조립 단계 등 전반적인 전자제품 제조에 "단기적인 딸꾹질(일시적인 문제)"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결국 고객사의 재고가 줄어들면 대만과 한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제품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번 지진으로 대만에 최첨단 반도체 생산시설이 집중된 상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대만은 최신 아이폰의 핵심 부품인 프로세서와 오픈AI의 챗GPT 등 인공지능(AI) 학습의 핵심 부품인 엔비디아의 그래픽 칩 등 전 세계 최첨단 반도체 생산을 선도하는 국가로, 글로벌 첨단 칩의 80∼90%를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 IT(정보통신)업계가 이번 강진으로 이들 제품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는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독일의 싱크탱크 SNV의 기술·지정학적 프로젝트 담당 얀-피터 클라이한스 이사는 대만을 반도체 산업에서 "실패를 불러올 가능성이 높은 가장 핵심적인 단일 지점"이라고 지적했다.
게다가 최근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무력 침공 시도에 경고하는 등 지정학적인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대만에서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손실 비용이 10조 달러(약 1경3천500조 원)나 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0%에 해당하는 규모로, 코로나19 대유행이나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크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이런 점을 감안해 미국 행정부는 대만 기업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국내 생산기업에 보조금 지급 등 인센티브를 주고 있으며, TSMC 등 대만 기업들도 지역 다변화를 추진해 왔다. 하지만 현재 미국과 일본에서 진행 중인 TSMC 생산시설 확장 프로젝트는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등 미국 기업들도 여전히 대만에서 주요 사업을 유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연합뉴스
'지진 우려+지정학적 문제' 대만 첨단공장 집중에 우려 시각도 대만에서 3일(현지시간) 25년 만의 강진으로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TSMC 등 대만 내 주요 반도체 기업 생산시설 가동이 일부 중단되자 시장에서는 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 반도체 공급망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했다. 4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애플과 엔비디아 등에 반도체 칩을 공급하는 TSMC는 3일 이번 지진으로 일부 생산시설의 가동을 중단했으나 밤새워 생산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TSMC뿐 아니라 유나이티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UMC), 뱅가드국제반도체그룹(VIS), 파워칩(力積電) 등 반도체 기업들도 이번 지진의 진앙에서 가깝지는 않지만, 일부 공장에서 직원들을 대피시키고 점검을 위해 가동을 중단했다.
TSMC는 대피했던 직원들이 생산시설에 복귀했다고 밝혔으나 이번 지진의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이사야리서치는 이날 메모에서 TSMC의 신주과학단지와 타이난, 타이중에 있는 생산시설의 가동이 중단됐던 만큼 일부 선적을 늦춰야 할 뿐 아니라 생산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웨이퍼 투입량을 늘려야 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이사야리서치는 "강진 충격에서 벗어나는 데는 생산을 재개하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신중한 조치와 시간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추가적인 문제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3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첨단공정 시설의 가동이 일시 중단됐으며 이 공정의 핵심 장비인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도 8∼15시간 가동이 멈췄다고 TSMC 측은 밝혔다. 투자은행 바클리는 이에 대해 보고서에서 고도로 정교한 반도체 팹(fab·반도체 생산시설)은 몇 주간 진공상태에서 연중무휴로 24시간 가동돼야만 한다고 지적하고, 가동 중단으로 공정에 차질이 생겨서 반도체 가격 상승 압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이로 인해 한국과 일본 등에서 생산되는 실리콘 웨이퍼나 메모리 반도체 등 제품 생산 단계와 중국 베트남 등의 조립 단계 등 전반적인 전자제품 제조에 "단기적인 딸꾹질(일시적인 문제)"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결국 고객사의 재고가 줄어들면 대만과 한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제품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번 지진으로 대만에 최첨단 반도체 생산시설이 집중된 상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대만은 최신 아이폰의 핵심 부품인 프로세서와 오픈AI의 챗GPT 등 인공지능(AI) 학습의 핵심 부품인 엔비디아의 그래픽 칩 등 전 세계 최첨단 반도체 생산을 선도하는 국가로, 글로벌 첨단 칩의 80∼90%를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 IT(정보통신)업계가 이번 강진으로 이들 제품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는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독일의 싱크탱크 SNV의 기술·지정학적 프로젝트 담당 얀-피터 클라이한스 이사는 대만을 반도체 산업에서 "실패를 불러올 가능성이 높은 가장 핵심적인 단일 지점"이라고 지적했다.
게다가 최근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무력 침공 시도에 경고하는 등 지정학적인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대만에서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손실 비용이 10조 달러(약 1경3천500조 원)나 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0%에 해당하는 규모로, 코로나19 대유행이나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크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이런 점을 감안해 미국 행정부는 대만 기업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국내 생산기업에 보조금 지급 등 인센티브를 주고 있으며, TSMC 등 대만 기업들도 지역 다변화를 추진해 왔다. 하지만 현재 미국과 일본에서 진행 중인 TSMC 생산시설 확장 프로젝트는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등 미국 기업들도 여전히 대만에서 주요 사업을 유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