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 속 해부학자] 사과에 대한 사과가 필요한 시점
입력
수정
지면A33
이재호 계명대 의대 교수농산물 물가상승률이 2개월 연속(2~3월) 20%대를 기록하며 정부를 향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사과의 3월 가격 상승률은 88.2%, 배는 87.8%로 각각 1980년 1월, 1975년 1월부터 조사한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애플레이션(애플+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정책 대응을 하면서, 일시적으로 가격 상승 폭은 둔화했다. 하지만 국제 유가는 여전히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벚꽃 개화 시기를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변덕스러운 날씨 때문에 농수산물 가격은 여전히 불안정하다.
총선을 앞두고 고공행진 중인 장바구니 물가 때문에 정부의 고심이 더해가고 있다. 지난 2일 국무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의 부담에 마음이 무겁다며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을 무제한·무기한으로 투입하고 지원 대상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과일과 채소로 근심이 가득한 상황에서 농산물로 지도자의 얼굴을 표현한 재미있는 그림이 있다.
사과 같은 내 얼굴
16세기 프라하에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궁정화가로 활동한 주세페 아르침볼도(1527~1593)는 루돌프 2세의 초상을 다양한 과일과 채소로 표현했다. 당시 화가들에게 후원인의 물질적 지원이 중요했기 때문에, 초상화에서 후원인의 장점을 부각하고 권위 있게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아르침볼도는 절대적 권위자인 루돌프 2세의 입술은 체리, 뺨은 사과, 이마는 호박, 눈꺼풀은 완두콩, 수염은 밤송이, 머리는 포도와 곡물 등으로 독특하게 그렸다. 이 작품을 보고 있으면 이 부위가 얼굴의 어디인지, 과일로 보였다가 사람으로 보였다가, 퍼즐을 맞추듯 시선을 움직이기 바빠진다. 이렇게 장난스럽고 기괴한 초상화가 황제에 대한 모독으로 보이지는 않았을까? 오히려 루돌프 2세는 크게 웃으며 만족스러워했다고 한다.이 작품의 제목은 ‘베르툼누스(Vertumnus·그림)’다. 계절의 변화를 관장한 신으로 ‘변화한다’는 뜻의 단어 ‘베르테레(vertere)’에서 파생됐다. 농경사회에서 수확을 관장하는 베르툼누스는 경외로운 신 중 한 명이다. 다소 우스꽝스럽게 보이지만, 실은 황제를 과일과 채소로 표현해 신의 이미지를 덧씌웠다.신과 같은 뛰어난 정치력과 공덕을 갖춘 황제 덕에 풍요로운 수확을 거두며 경제적으로 번영을 누리고 있다는 뜻이다. 사실 루돌프 2세는 위대한 통치자는 아니었지만, 아르침볼도와 같은 예술가를 후원하고 많은 예술 작품을 수집하며 문화적인 측면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아르침볼도의 작품은 20세기 살바도르 달리, 파블로 피카소 등 초현실주의 화가들에게 영감을 주기도 했다.
총선만을 위한 정책 아니길
‘베르툼누스’ 속의 사과는 뺨의 광대뼈(zygomatic bone)를 과장되게 표현했다. 이 뼈는 얼굴 부위와 뒤쪽의 뇌 부분을 이어주는 뼈로, 연결(zygo)이라는 의미가 포함돼 있다. 비슷한 어원으로 수정란 혹은 접합자(zygocyte)가 있다. 광대뼈는 얼굴에서 가장 도드라져 보이는 부위로, 흔히 얼굴이나 얼굴에 쓰는 탈을 뜻하는 ‘광대’에서 유래했다. 아르침볼도도 사과가 물가에 중요한 ‘얼굴’임을 안 것일까?이번 총선에서 후보들의 막말과 의대 정원 확대가 유권자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들 하지만, 사실 가장 큰 요소는 바로 사과값을 비롯한 물가라고 한다. 총선을 앞두고 혈세를 푸는 선거용 미봉책만으로는 천장을 뚫은 물가를 잡기 어려울 것이다.오히려 여야 후보들이 당선을 위해 경쟁적으로 쏟아낸 파격 공약까지 더해지면서 모든 정책을 혈세로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도 든다. 총선 후로 미뤄놓은 공공요금 인상 등의 문제와 함께 물가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실패한 정책에 사과(謝過)하고 베르툼누스 신의 이름 그대로 변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