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부동층·진보 섞인 60대가 '키' 쥐었다

승부 가를 '세대별 표심'

무당층 비중 여전히 높은 2030
공정 이슈·막말 논란이 관건

운동권 '386 세대', 60대 유입
2030보다 유권자 수 많아져
이전보다 보수색채 옅어질 듯
사진=연합뉴스
10일 치러지는 22대 국회의원 총선거의 승패는 20·30대와 60대의 표심이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20·30대 젊은 유권자들은 투표 직전까지 표심을 정하지 못하고 무당층으로 표류하고 있다. 정치권은 최근 불거진 막말 논란과 공정 이슈가 이들을 움직일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60대의 경우 고령층은 보수적이라는 통념과 달리 1980년대 학생운동을 주도한 ‘386세대’가 유입되며 표심이 엇갈리고 있다.

‘386’ 유입된 60대 유권자

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총선에 참여할 수 있는 유권자는 전국 4452만1919명이다. 이 중 50대(871만1608명) 유권자가 가장 많고 40대(785만7539명), 60대(769만5466명) 순이다. 18~29세와 30대 유권자는 각각 701만3499명, 655만9220명이다. 이번 선거에서 처음으로 60대 이상 유권자(1411만53명)가 20·30대(1357만2719명) 유권자보다 많아졌다.

60대 유권자가 늘어났지만 이들의 표심을 가늠하기는 쉽지 않다. 그간 정치권에서는 60대 이상 유권자를 보수 성향으로 분류해왔다. 하지만 진보 성향이 강한 386세대가 60대에 본격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선거 지형이 흔들리고 있다. 이번 총선은 이들이 60대가 되고 나서 처음으로 치러지는 선거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6~28일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29일 발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60대 유권자의 지지 정당은 국민의힘(50%), 더불어민주당(25%), 조국혁신당(13%) 등으로 나타났다.

20·30대는 “표심 못 정해”

유권자 수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20·30대의 영향력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50여 개 지역구가 여전히 초접전지로 분류되는 가운데 젊은 유권자 중 아직 표심을 정하지 못한 무당층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갤럽 여론조사에 따르면 18~29세 응답자 중 자신이 무당층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8%에 달했다. 30대 무당층은 29%였다. 40대 이상에서는 무당층 비중이 10% 내외다.

정치권에서는 선거 직전 터져 나온 각종 이슈가 무당층 표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공정’ 이슈에 민감한 20·30대에게 후보자들의 ‘아빠 찬스’ 의혹과 막말 논란, 의정 갈등 장기화 등이 분노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공영운 민주당 경기 화성을 후보는 군 복무 중이던 25세 아들에게 현 시세 30억원 수준의 서울 성수동 땅과 건물을 증여해 ‘아빠 찬스’ 논란에 휩싸였다. 같은 당 김준혁 경기 수원정 후보는 과거 이화여대생이 미군에게 성 상납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여성단체로부터 후보직 사퇴 요구를 받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김 후보의 발언을 옹호하는 영상을 자신의 SNS에 공유하며 “역사적 진실에 눈감지 말아야”라고 적었다가 논란이 일자 1시간 만에 글을 삭제하기도 했다.장기화하는 의정 갈등은 여당에 악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 20·30세대는 의과대학 증원 등 의료개혁을 지지하는 편이지만 정부가 집단 사직에 나선 의료계와의 갈등을 좀처럼 해결하지 못해 피로감이 쌓이고 있기 때문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20·30대는 무당층이 많으면서도 남성은 보수적, 여성은 진보적 성향이 강한 편”이라며 “공정에 반하는 ‘아빠 찬스’ 의혹과 젊은 층이 관심을 갖는 막말 논란 등은 20·30대 유권자를 움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