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만 끝나면 빠지는 코스피…올해는 다를까
입력
수정
지면A14
4·10 총선 이후 증시 전망
2000년 이후 6번 중 4번 하락
올해 '밸류업' 효과로 많이 올라
2분기 주가 조정 가능성 커
총선후 공매도 재개될지 관심
금투세·상속세 개정 여부 촉각

선거 뒤엔 왜 코스피 떨어질까
9일 증권가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치러진 총선에서 선거 직전 한 달간 대부분 코스피지수가 올랐다. 총 여섯 차례의 총선 중 코스피지수는 최대 7.52%(2004년 17대 총선) 올랐다. 이 지수가 0.93% 오른 올해까지 합하면 총 일곱 차례 중 다섯 차례 상승했다. 총선 전 한 달간 코스피지수가 떨어진 건 2000년 16대(-2.07%)와 2012년 19대(-1.18%) 두 번뿐이다. 정치권이 쏟아낸 각종 공약과 청사진이 투자자들에게 경기가 좋아질 것이란 기대를 심어준 것이 증시를 밀어 올린 원인으로 분석된다.
총선 결과가 증시 향방 좌우
전문가들은 각 정당이 내놓은 공약 중 실현 가능성이 높은 정책의 수혜주를 찾는다면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조언한다. 여당인 국민의힘과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공통적으로 내세운 산업 육성 공약이 대표적이다. 이 공약은 반도체·바이오·인공지능(AI) 분야를 지원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중 수출 기업에 세제 혜택을 주고 에너지 사용료를 절감해주는 정책도 포함됐다.금투세와 상속세 관련 공약은 각 정당이 상반되는 입장인 만큼 어느 쪽이 당선되느냐에 따라 증시 향방이 갈릴 수 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가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이므로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민주당은 약 1조원의 세수 감소가 우려된다며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금투세 폐지가 개미(개인 투자자)의 투자 수익을 20% 이상 높여 단기적으론 주식 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지만 세수 감소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상속세는 국민의힘은 완화, 민주당은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선 상속세를 완화하면 경영자가 가업 승계를 위해 인위적으로 주가를 누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주가 부양에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소득 재분배를 막아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란 의견이 맞서고 있다.
오는 6월까지 한시적으로 금지된 공매도가 총선 이후 재개될지 여부도 관심이 쏠린다. 국민의힘은 공약집에 공매도를 언급하지 않았다. 민주당은 불법공매도 모니터링 및 처벌 강화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