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츠렸다 뛰는 개구리는 멀리 뛸 수 없다 … 예술도 예외가 아니다

[arte] 서진석의 아트 앤 더 시티
포스트 디지털 시대,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사회학자 레베카 코스타는 “날로 가속화되는 사회변화 속도에 인간이 따라가지 못해 그 한계에 봉착하게 되면, 인류는 멸망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조지프 A. 테인터는 “인류의 문명은 발전하면 할수록 그 사회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복잡성이 증가하게 되어, 이를 해결하지 못함으로 인해 한 문명이 멸망하고 또 다른 문명이 다시 시작되는 것을 반복해 왔다”라고 말했다. 한 마디로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다단해진 사회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c)gettyimagesbank
미술계를 한번 들여다보자. 한 작가가 데뷔하여 인지도 있는 작가로 떠오르기까지는 얼마의 시간이 걸릴까? 과거, 20세기 초에는 무명작가에서 시작해서 유명작가가 되기까지 약 20~30년의 세월이 걸렸다. 빈센트 반 고흐는 죽은 다음에서야 유명해졌다.1980년대, 영국 ‘YBA 운동’의 대표 작가였던 데미안 허스트는 학생 시절 처음 기획한 <프리즈 전> 이후로 작품이 수십억에 팔릴 때까지 약 10~15년이 걸렸다. ‘중국 전위회화 운동’의 작가들은 1999년 베니스 비엔날레에 처음 소개된 후로 약 5년 만에 세계적인 작가들이 되어버렸다. 미술계의 생산, 유통, 소비의 순환도 다른 사회현상들과 마찬가지로 가속화되면서 그 주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21세기의 4분의 1이 지났다. 지금의 사회변화 속도가 과거보다 더 빨라지고 있음을 우리는 생생하게 경험하고 있다. 이는 경제계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모 경제학자는 한국형 경제학을 3가지 키워드로 정리했었다. 하나는 정확성을 수반한 속도성, 둘은 성실성을 수반한 목적지향성, 셋은 창조성을 수반한 모방성이었다. 물론 과거의 우리 사회는 속도성, 목적지향성, 모방성만을 가지고 있었지만, 새로운 디지털 시대의 생존적 요구에 발맞춰서 누구보다도 빠르게 정확성, 성실성, 창조성을 흡수했던 것이다.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삼성의 21세기 기업전략은 ‘생각나면 먼저 일을 벌이고 보자. 그리고 미흡하면 재빠르게 보완한다.’였다고 한다. 우리나라 현대, LG, 삼성 같은 기업들은 21세기의 새로운 사회변화에 매우 순발력 있게 적응하고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변화에 느렸던 소니, 도시바 등과 같은 타 기업과의 경쟁에서 승리하며 글로벌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c)pixabay
이제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바로 즉시 실천해야 하는 시대다. 과거에는 어느 정도 고민하고 준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우리에게 주어졌지만, 지금은 바로 실현하지 않으면 누군가가 똑같은 아이디어를 2~3개월 안에 실현해 버리고 만다. 나만의 선도적 비전이 아니라 다 같이 공유하는 일반적 비전이 되어버리고 마는 것이다. 예술은 실험적인 시각이미지와 그에 따른 담론을 끊임없이 질문하고 제시하며 발전한다. 그러므로 예술이야말로 다른 학문 분야들보다도 항상 선도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대학에서 미래 창작자인 학생들에게 조금은 과장된 강의를 종종 하곤 한다. “나는 이제 ‘한 방론’을 믿는다! 우리는 단기적이지만 한 방에 뜰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옛말에 한 번 움츠렸다가 뛰는 개구리가 더 멀리 뛸 수 있다는 격언이 있었다. 그러나 21세기 새로운 사회에는 이러한 교훈은 의미가 없을 것 같다. 잠깐의 휴식, 잠깐의 움츠림은 바로 너희의 도태로 이어질지도 모르니까. 언제나 기회가 오면 바로 뛸 수 있게 항상 준비를 해두자.”

나는 절실한 기독교인은 아니지만 누가복음 12장의 한 문장을 좋아한다. “의식하며 항상 깨어 있어라! 주님이 언제 오실지 모르니” (여기서 주님은 사회적 기회를 말하는 것은 물론이다.)

핫이슈